북한, 심각한 전력난 중소형발전소 건설로 극복한다
북한, 심각한 전력난 중소형발전소 건설로 극복한다
  • 한국에너지신문
  • 승인 2000.06.1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 북한은 전력과 석탄을 ‘인민경제의 생명선’으로 부르짖고 있다. 심각한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북한은 올해 예산편성을 하면서 전력, 석탄 등 에너지부문에 많은 예산을 편성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2년째 기간산업에 대한 집중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력설비 확충을 위해 올해에는 15.4%(지난해에는 15%)를 예산 편성에서 증액했다. 석탄은 12.3%, 과학기술 5.4%, 농업 5.0%, 경공업 4.0% 등으로 예산 증액을 단행했다.
당 창건 55돌을 맞은 북한은 올 예산편성을 에너지증산, 인프라시설 구축 등을 통해 경제를 회생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예산을 편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특히 중소형발전소를 1년 내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건설해야 한다는 방침아래 연초부터 중소형발전소 건설에 치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2월 23일 태천수력발전종합기업소 3호 발전소를 착공하는 등 발전소 건설사업에 대대적인 작업을 추진중이다.
금야강에 대규모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을 비롯해 평안남도 덕천시에 1천∼1만KW규모의 중형급 발전소인 덕천발전소(99년 4월), 예성강에 대규모 수력발전소 건설도 4월 28일 착공했으며 평양시 강동군 삼등지구에도 수력발전소를 5월에 공사에 들어가면서 일년내내 발전소 건설에 힘써 왔다.
현재 북한에는 크고 작은 중소형 발전소 700여개소가 건설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이할 만한 것은 이같은 전력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3월 동력자원개발국 한 관계자는 “석탄을 연료로 하는 화력발전소 건설은 이제 하지 않고 기존 능력을 유지하는 방향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언급했다는 점이다. 결국 대규모 수력발전소 건설을 위주로 함으로써 중소형 발전소 건설에 치중한다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북한의 총 전력생산량은 170억KWh이다. 총 발전설비 용량은 7백39만KW로 알려져 있지만 실질 가동 설비는 200만KW에 불과한 실정이다.
총 설비중 폐기된 설비가 109만KW에 달하고 요보수중인 발전설비만도 430만KW에 이른다.
특히 실질 전력소비량이 114억KWh로 전체 발전량의 67%에 달한다.
북한의 연간 발전량은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로 인해 산업·군사용 전력공급에도 모자라는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가정용 전력 소비량은 가구당 40W 백열등을 1개 정도 겨우 켤 수 있을 정도로 공급하고 있다.
실질 전력 소비량은 114억KWh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인천광역시(116억KWh)의 소비전력과 비슷한 수준이다.
북한이 구조적인 전력난을 타개하기 위해 신규 발전설비 확충, 송배전망 개선이 절박하다는 분석이다.
이번 남북 정상화담 이후 남북한 에너지 교역은 활성화 될 수 있을 지는 아직 예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미 대북 지원사업으로 가장 잘 알려진 KEDO원전 사업과 중유 공급은 이미 97년과 95년도에 상당기간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중유 공급은 95년도에 시작해 올 해 4월까지 11억9천1백3천달러가 지원됐고 신포지구에 건설중인 케도 원전사업은 97년부터 7천4백88만3천달러가 지원됐다.
국내에 1천만톤의 석탄 재고량이 쌓여 있지만 북한이 이를 원조 받는다는 것에는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북한도 석탄 사용을 해야 하는 입장이지만 화력발전소 건설을 지향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 에너지교류는 당장 눈에 보이는 가시화를 이루기에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국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은 분분하다. 심각한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만큼, 북측이 오히려 에너지원조를 원할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반대로 전력수급에 어려움에 대한 문제가 해결된다면 오히려 타 분야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요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한에 대한 에너지 공급은 현재까지 이뤄진 중유에서 석탄으로 이어 질지는 두고봐야 하며 아직 양국간 어떤 결론을 내리지 않은 상태에서 석탄을 무상 지원한다는 것 등에 대해서는 일단 우리정부도 확인되지 않은 비공식적인 말로 일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에너지난을 겪고 있는 북한이 에너지 인프라 시설에 손을 내민다면 전력, 석유, 석탄, 가스등의 북한 진출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남형권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