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발전사, 올 여름 이상저온에 “나 떨고 있니”
민간발전사, 올 여름 이상저온에 “나 떨고 있니”
  • 김윤희 기자
  • 승인 2014.08.21 17: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발전기 가동률 뚝↓·수익성 약화로 경영난 가중
14년째 동결 CP 현실화·LNG 직도입 열어줘야

올 여름 이상저온에 경기침체로 인한 내수부진까지 겹치면서 민간 발전사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올해는 최근 3년간 겪었던 전력대란에 맞춘 정부의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늘어난 전력공급량에 비해 수요가 한참 밑돌았기 때문이다.

22일 전력거래소와 포스코에너지, GS EPS, SK E&S 등 8개 민간발전사와 관련 협회 등에 따르면 이번 여름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LNG발전소 가동률이 당초 기대보다 매우 저조해 상반기 수익률에 경고등이 켜졌다.

전력거래소에 따르면 올 여름 최대 전력수요량을 기록했던 지난달 25일 전력공급량은 총 8412.8kW였다. 하지만 수요는 7605.4kW로 예비율이 10.6%를 기록했다. 예년과 비교하면 높은 수치다.

원전부품 비리로 지난해 5월 가동이 중단됐던 대형 원전 3기가 올해 초부터 가동을 시작한데다 영흥화력 5,6호기와 같은 신규 발전설비가 가세해 공급량은 늘었고, 수요는 예전 수준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여기에 하반기 실적 전망도 어두워 경영난이 가중될 전망이다. 올해 말까지 총 11GW 용량의 신규 발전소가 추가로 가동을 준비 중이다. 이 중 LNG발전소의 용량이 총 7GW에 달해 최소 15% 이상의 예비율이 확보되고 SMP(전력계통한계가격)가 추가로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산업조직학회가 지난해 발표한 ‘전력산업구조 연구용역’ 보고서는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준 수요 SMP는 2015년 122.94원, 2017년 108.46원, 2020년 87.61원 순으로 지속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LNG발전기의 특성상 오래될수록 효율이 낮아 가동률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어 기존 설비를 보유한 민간 발전사는 수익은커녕 건설 투자비 회수조차 어렵게 됐다. 최근 10년간 8조원을 투자해 국내 전력설비의 19%와 전력생산의 13%를 충당해온 LNG발전이 기저발전인 원자력과 석탄에 우선순위가 밀리면서 수익구조가 갈수록 나빠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국내 주요 3대 민간 발전사에서 가동 중인 발전소 중 최고효율을 자랑하는 발전기의 올해 경영 실적과 전망을 들여다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A사의 대표적 발전기의 올해 1~5월까지의 매출액은 5695억원, 영업이익은 133억원에 그쳤다. 6~12월까지의 매출액 추정치는 7342억원으로 영업이익은 133억원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B사의 경우도 상황은 심각하다. 올해 1~6월까지 매출액은 1806억원, 영업이익은 17억원 적자를 냈다. 7~12월 예상 매출액은 1237억원, 영업익은 15억원 적자다.

그나마 민간발전 주요 3사 중 최고 효율을 자랑하는 C사의 대표적 발전기만 겨우 적자를 면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1~5월까지 매출액은 3514억원, 영업이익 115억원이었고 6~12월 매출액 추정치는 4551억원, 영업이익 77억원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 민간 발전사 관계자는 “에너지절약으로 인한 수요 감소는 국가적으로는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LNG발전의 사업성 악화는 장기적으로 봤을 때 국가 에너지 정책의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LNG발전은 기저발전과 달리 수요 변동성에 대한 속응성이 뛰어나다. 전력대란이나 긴급상황에서 단시간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민간발전사의 적자가 지속되면 발전사업 투자 회피로 이어져 또 다른 전력대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올 하반기부터 적자가 발생하기 시작해 내년엔 그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RPS(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과징금과 배출권거래제가 더해져 민간 발전사들은 그야말로 삼중고에 처하게 됐다.

정부도 이같은 상황을 인식하고 LNG발전사업을 살리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업계가 만족할 만한 뚜렷한 해결책은 내놓지 않고 있다. 

민간발전협회 관계자는 “2001년 가스터빈 기준 kWh당 7.46원으로 정해진 이후 14년째 그대로인 LNG복합발전기의 CP(용량정산금)를 복합기준과 물가인상 수준을 반영해 현실화하는 것이 급선무”라며 “LNG발전단가의 90%를 차지하는 LNG 비용을 인하하거나 가스 직도입 기회를 민간에 열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