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안젤리나 갈리테바 세계신재생에너지협의회대표
“나의 목표는 신재생에너지 국제기구 창설”
인터뷰-안젤리나 갈리테바 세계신재생에너지협의회대표
“나의 목표는 신재생에너지 국제기구 창설”
  • 남수정 기자
  • 승인 2007.06.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안젤리나 갈리테바 대표는 지난 18일부터 20일(현지시각)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힐튼롱비치호텔에서 열린 ‘태양광회의(photovoltaic summit 2007)’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고용창출과 경제발전’에 대한 주제발표로 참가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특유의 명쾌한 논리로 NGO, 정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만나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을 알리는 ‘신재생에너지 전도사’로 잘 알려져 있다. 세계 신재생에너지기구 출범을 위해 바쁘게 뛰고 있다는 그는  “생활이 바로 에너지(Life is energy)”라고 힘주어 말했다.

-세계신재생에너지협의회(WCRE)가 지향하는 바는.
▲ 물론 전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늘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의 협력으로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법안의 틀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세계적인 신재생에너지 기구(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를 창설해 전세계적으로 수송분야까지도 포함한 에너지 사용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국제적인 기구를 통해 자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에 대해 약속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게 만드는 그런 모델이다. 

-‘신재생에너지 전도사’ 활동을 시작하게 된 특별한 계기가 있나.
▲나는 불가리아에서 태어나 탄자니아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 곳엔 전기가 연결돼 있지 않았고, 우리 가족은 태양에너지, 자연과 함께 생활했다. 전기가 들어오면서 앞마당에서 볼 수 있었던 코끼리를 볼 수 없게 됐는데 어린 마음에도 ‘이건 아닌데’라는 생각을 했던 것 같다. 다시 불가리아로 돌아와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국가, 인종을 뛰어넘는 국제적인 이슈가 무엇인가 고민했다.
결국 인류 모두에게 필요한 에너지 문제로 결론을 내고 관련 분야의 대학전공을 선택했다. 에너지분야 회사를 다니면서 핵실험과 관련된 미국 정부의 위선에 대해 알게 됐고, 이것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누군가는 해야 하는 일이기에 나부터 해보자는 마음으로 뛰어들었다.

-독일과 미국과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방법에 대해 평가한다면.
▲ 우선 두 국가의 가장 큰 차이점을 한 마디로 요약한다면 독일은 고정가격제(FIT), 미국은 신재생에너지 의무비율 할당제(RPS)라고 할 수 있다.
독일은 10년 이라는 짧은 시간에 FIT 제도 시행으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독일은 보급과 기술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성공했으며,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선도하면서 기술을 수출하고 있다.
1995년부터 관련 법과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정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선진국으로 자리잡았다. 이 제도는 정부의 분명한 의지를 지속적으로 보여줘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이끌어냈다. 또한 문제가 생겼을 경우 바로 수정할 수 있고, 기업, 정부, 연구소 등 관련 기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는 데 강점이 있다. 
미국은 캘리포니아주가 가장 적극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나서고 있다. 각 주 별로 목표치를정해 RPS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하다. 미국 정부는 ‘시장에 맡긴다’고 하는데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이다. 더 낮은 가격에만 초점을 맞추면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다양하고 장기적인 안목의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이뤄져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개인적으로 FIT와 RPS에 대해 선호하는 제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보급 성과를 보면 결론은 명확해진다.
독일의 경우 미국보다 23배 작은 나라지만 풍력발전기를 두 배 이상 설치했다. 또한 유럽의 다른 국가들 중 FIT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나라에서 성공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영국도 RPS 제도를 시행했지만 만족스런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한 것으로 알고 있다. 

-미 부시 대통령이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는데.
▲ ‘돈이면 다 된다’는 식의 접근이라고 본다. 물론 시민입장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것보다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사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하지만 그가 지향하는 지점이 어디인지 분명치 않다. 특히 수소경제에 대해서는 실체가 없는 허구를 쫓고 있는 것 같다. 전기자동차를 버리고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를 사용하자는 것인가. 게다가 원자력 발전을 통한 수소경제에는 찬성할 수 없다.

-한국의 경우 보급과 R&D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보급을 늘리기 위한 발전차액지원제, 태양광주택 10만호 보급사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 신재생에너지를 국민들이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민들이 스스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단순하고 친숙하게 제도를 운영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낮은 이자율 적용 등 금융권의 도움도 필수적이다.
국산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국산플랜트나 제품에 4~5년 정도 일정 기간 동안 인센티브를 더 주는 방법도 있다. 캘리포니아가 이 제도를 시행 중이다.

-신재생에너지가 가진 고용창출 효과는 어떠한가.
▲ 신재생에너지의 경쟁력을 얘기할 때 이 부분이 꼭 고려돼야 한다. 독일의 경우를 보자. 2004년 15만명에서 지난해 3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일자리를 얻었다. 특히 태양광의 경우 1GWh당 45명의 인력이 필요하다. 게다가 독일의 경우 제품수출 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고급인력의 해외진출도 활발하다.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이제 명실상부한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설비에 대한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도 나타나고 있는데.
▲ 이 세상에 완벽한 것이란 없다. 다만 최선의 해결방법을 찾아가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소음이나 진동 등의 영향과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비교하면 선택은 분명해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