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소 함량 최대 6.7% 개정” 제시
“산소 함량 최대 6.7% 개정” 제시
  • 남수정 기자
  • 승인 2005.11.25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범보급 ‘E-5’ 추진 바람직…최적비 10% 적용
MTBE 대체제로 보급 필요…단계적 대체해야

현행 자동차용 휘발유 품질 기준상 바이오에탄올 혼입비율 법령 개선방안


바이오에탄올 도입 타당성 검토 공청회

바이오에탄올 도입 단기대책으로 고정가격에 의한 장기 공급계약 추진, 해상 수송을 위한 용선 확보, 장기 대책으로 국내기업의 해외 플랜테이션 사업 지원, 국내 바이오에탄올 생산 기반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2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바이오에탄올의 국내 도입 타당성 검토를 위한 공청회’에서 이진석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연구센터장은 지난 6월부터 수행한 ‘바이오에탄올의 국내 도입 타당성 분석연구’결과를 토대로 이같이 제안했다.

이번 연구과제 총괄책임자인 이진석 센터장은 ‘바이오에탄올 도입을 위한 정책 제언’을 통해 “1994년 이전에 생산된 차량의 경우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에 대해 부식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범 보급을 ‘E-5’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또 보급 인프라 구축시 문제점 파악 및 비용산출을 위한 실증사업이 필요하며 실증사업 후 전면보급에 앞서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보급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원유가격이 70달러 이하인 경우 바이오에탄올이 경제성을 가질 수 없으므로 세금 감면 정책이 필요하며 바이오에탄올 수급 안정성 확보와 국내 농업 자원 활용 방안으로 바이오에탄올 생산용 에너지작물 경작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영재 에기연 수송에너지연구센터 연구원은 ‘바이오에탄올의 차량 적용성 평가’를 통해 가솔린에 대한 에탄올 혼합율 10%(체적비)까지는 차량 내구성에 특별한 문제없이 적용 가능하다고 밝혔다. 가솔린에 대한 에탄올 혼합율 10%까지는 NOx의 소폭증가와 함께 CO, THC와 같은 유해배출가스나 독성물질, CO2의 저감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지난 22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바이오에탄올의 국내 도입타당성 검토를 위한 공청회’에 참가한 패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 점차 혼합율을 높일 필요가 있으나 10%를 초과하는 경우 엔진 연료계 부품재료의 변경, ECU의 제어로직 수정 등이 필요하며 미국, 브라질 등지에서 보급되고 있는 FEV(Flex Fuel Vehicle)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자동차 제작사의 신규 차량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충섭 한국석유품질관리원 부장은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의 유통시스템 및 제도개선’에 대한 발표를 통해 국내 유통시스템 인프라 구축에 약 7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위해 유통인프라 실증평가연구를 진행해 에탄올 혼합율에 따른 품질변화, 부식성 및 상분리 규명, 최종 유통단계 실증 평가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바이오에탄올 혼입비율에 따른 법령개선방안으로 현행 자동차용 휘발유 품질기준상의 산소함량을 최대 6.7%로 개정할 것을 제시했다.
김정완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MTBE와 에탄올의 경제성 비교에서 국내에서도 MTBE 대체재로 바이오에탄올 보급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서 사용중인 MTBE 대부분이 국내에서 생산되므로 단계적으로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정유사 MTBE 생산시설의 용도 변경에 대한 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오경석 농촌진흥청 연구원은 국내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통해 농촌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연구과제 발표에 이어 진행된 패널 토론에서는 바이오에탄올 도입을 놓고 입장에 따른 다양한 주장이 제기됐다.

이원철 석유협회 상무는 “바이오에탄올 도입으로 에너지안보 강화, 농촌경제 활성화 등을 달성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특히 원료의 해외수입은 해외농가 소득증가로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영복 경상대 교수는 “에너지 안보를 위해 언젠가는 도입해야 한다”면서도 “원료의 해외수입을 통한 바이오에탄올 도입은 진정한 신재생에너지 이용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엄명도 교통환경연구소 연구원은 “온실가스 감축 차원에서 이 사안을 봐야 한다”고 전제하고 “대기오염, 차량안전성 문제 등과 관련 아직은 심도깊은 논의가 더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허은녕 서울대 교수는 “수송용 연료에 다른 대안이 있다면 바이오에너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하이브리드나 연료전지로 이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그는 “석유, 가스도 초기엔 비쌌고, 인프라도 국가가 구축했다”며 “바이오에너지도 이같은 관점에서 보자”고 주장했다.

이같은 입장에 대해 김영삼 신재생에너지과장은 “바이오디젤은 국내 생산 기반이 있지만 바이오에탄올은 그렇지 못한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관련 기업들이 에너지 안보, 국내 농업 활성화 등을 위해 전향적으로 생각해 달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