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화재 여전…안전진단도 무용지물
ESS 화재 여전…안전진단도 무용지물
  • 조성구 기자
  • 승인 2019.01.21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산·완도·장수 등 1월에만 3건
2곳은 정밀진단 받고도 화재 발생
정부 “위원회 구성 원인 조사 중”
업계 “강제 가동 중단 고려해야”

[한국에너지신문] 지난 14~15일 양일간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3곳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ESS 안전진단의 효용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됐다. 지난해 발생한 ESS 화재를 계기로 정부가 안전 방안을 마련했지만 무용지물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틀간 경남 양산과 전남 완도, 전북 장수 소재 ESS 발전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올해 들어서만 3건이다. 
문제는 이어지는 ESS 사고에도 정부가 내놓고 있는 대책이 실효성이 적고 정확한 화재 원인 파악에 도움을 못 주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2017년 8월 한전 고창 실증단지에서 첫 번째 화재가 났고 지금까지 집계된 ESS 화재는 모두 20건에 달한다.

산자부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화재사고 대응 긴급조치를 본격적으로 시행했다. 삼성 SDI, LG화학 등 제조사들과 업계 자체점검팀 및 전문가 특별점검팀을 꾸려 올해 1월까지 전국 1300여 개 ESS 시설에 대한 정밀안전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어 지난해 12월 충북에서 다시 화재가 발생하자 정밀안전진단이 완료되지 않은 모든 ESS 사업장의 가동 중단 및 정밀안전점검 이후 가동을 권고했다. 

하지만 올해 다시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앞으로의 정부의 화재 발생 방지 대책도 그다지 효용성이 없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유는 정부의 정밀진단점검 이후 가동 요청이 권고 사항이기 때문이다. 사업자들이 정밀점검이 진행되지 않은 사업을 그대로 진행해도 막을 방법이 없는 것이다.

나아가 이번 화재가 발생한 공장 두 곳은 이미 정밀안전검검을 실시한 곳이었으나 화재가 발생해 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현재로서는 앞으로 또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는 상태인 것이다.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화재 원인과 책임소재 규명도 시급하다.

업계에서는 데이터값의 오류로 인한 과충전, 셀의 불량 등 설비 자체의 결함, 시공과 제어시스템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원인을 찾고 있지만 확실한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원인조사위원회를 가동해 자세한 원인을 조사 중이지만 복합적인 시스템인 ESS의 특성상 정확한 원인을 찾아내는데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ESS 업계 관계자는 “차라리 이번 사고가 안전에 대한 확실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시일이 걸리더라도 모든 사업장의 정밀진단이 끝날 때까지 중단을 강제하는 조치도 생각해 볼 시기인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발생한 3건 중 2건의 화재 사고와 연관이 있는 LG화학은 자사의 ESS 가동 전면 중단 등 사태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15일 자사 배터리가 들어간 ESS 사업장에 가동중지를 요청한 상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