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일자리 vs 만들어지는 일자리
사라지는 일자리 vs 만들어지는 일자리
  • 조성구 기자
  • 승인 2018.09.10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성구 기자
조성구 기자

[한국에너지신문] 최근 한 언론이 유명 연구기관의 보고서를 인용해 ‘에너지 전환이 추진되면 원전 산업 분야에서 사라지는 일자리가 1만 개 정도 될 것’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보도했다.

이를 토대로 원전 업계는 “현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논리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삼고 있다.

나아가 일부 보수 언론들은 “노동자의 삶을 대변한다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 정책을 만들지는 못할망정 있는 일자리도 없앨 심산이냐”며 날을 세우는 안줏거리로 대서특필했다. 

하지만 문제는 이 언론이 보고서의 일부만 조명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관련 보고서는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다양한 시나리오 중 앞으로 우리나라 원전의 ‘수출이 어렵다’는 상황을 가정한다면 이 같은 결론이 나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원전 4기 수출을 가정하면 인력 공급과 수요가 일치하고, 나아가 원전 8기 수출을 가정한다면 오히려 일자리가 약 1만 명 정도 늘어나는 점이 보고서에 제시돼 있음에도 기사에서 간과 또는 의도적으로 배제한 것이다.

정부가 원전 수출을 정상외교, 원전수출전략협의회, 경제협력 등 범정부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 중인 상황을 감안하면 이 기사의 논조는 다분히 의도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부서인 산자부 원전산업정책과도 관련 자료를 통해 보고서는 만약 수출이 어려울 경우 장기적으로 일자리가 감소한다는 내용이지, 현재 재직 중인 근로자의 일자리가 없어진다는 의미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일련의 과정을 보면 정부의 에너지 전환 정책 추진 노력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이 어떤 에너지원이 주체가 될 것인지, 어떤 영역으로 확대돼야 한다든지 등의 추상적인 논의와 목표 제시만으로는 국민의 마음을 살 수 없기 때문이다. 

에너지 전환이 어떻게 국민의 삶에 영향을 줄 것인지, 양질의 일자리는 어느 정도 생성할 것인지 등 확실하고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해야 정책의 추진 동력이 생기는 것이다.   
최근 열린 토론회에서 만난 한 교수는 “원전이든 재생에너지든, 국민이 원하는 것은 업계 간의 밥그릇 싸움이 아니라 진정으로 국민의 건강과 환경을 보존하는 정책”이라는 얘기를 전했다.

에너지 전환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모두 탈원전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듯, 탈원전이 반드시 재생에너지만 확대하겠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상기할 시점이다. 

원전 대표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이 최근 재생에너지, 수력 등을 포함한 종합에너지기업으로 전환해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 그나마 위안으로 삼을 만한 일일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