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비난하는 언론들 “중국 기업들 때문에...”
새만금 비난하는 언론들 “중국 기업들 때문에...”
  • 조승범
  • 승인 2023.08.21 2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차단지 특화단지 새만금 지정···국내 전구체 생산기지냐 중국의 IRA 도피처냐

[한국에너지신문]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된 전북 새만금에 중국 기업들이 입주하면서 볼멘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 중국 기업들이 새만금을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우회를 위한 도피처로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배터리 양극재 핵심소재인 전구체를 국산화하려면 원자재 기술을 보유한 중국 기업들과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두 주장이 엇갈리는 가운데 한국 배터리 업계는 새만금에서 전구체 내재화 등 실리를 취할 수 있을까.

국내 배터리 업계의 중국 의존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배터리 양극재 원가의 70%를 차지하는 전구체를 중국에서 거의 전량 수입해오고 있는데, 올해 상반기 전구체 수입량의 97%가 중국산이었다.

정부가 새만금을 이차전지 특화단지에 지정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전구체 생산거점을 국내에 마련해 중국 의존도를 탈피하자는 전략이다.

그러나 미국이 발효한 IRA와 맞물려, 새만금에 한중 합작 형태로 입주한 중국 기업들을 바라보는 언론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블룸버그통신(Bloomberg)은 지난 7월 새만금에 대해 중국 기업들이 IRA를 우회하기 위한 도피처가 될 가능성은 없는지 따져봐야 한다고 밝혔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기업들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조항을 통해 IRA 보조금을 노리고 있다며, 한미 경제동맹의 허점을 이용하는 중국에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IRA 배터리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미국 또는 미국과의 FTA 체결국에서 리튬·흑연 등 배터리 핵심 원료를 40% 이상 제조·가공해야 한다. 중국 기업들이 이러한 점을 노리고 미국과 FTA를 체결한 한국의 새만금에 투자한 것은 아니냐는 것이다.

이러한 의견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도 있다. 새만금에 터를 잡은 중국 기업들과의 협력은 LG화학과 SK온 등 한국 기업들의 전구체 내재화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는 입장이 그것이다.

LG화학은 중국의 화유코발트와 총 1조2000억원을 공동 출자해 오는 2026년까지 새만금에서 연간 10만톤 규모의 전구체 생산 공장을 세우기로 합의했다.

SK온·에코프로머티리얼즈는 중국 최대 전구체 기업인 GEM(거린메이)와 새만금에 3자 합작법인(JV) GEM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을 세워 총 1조2100억원을 공동 투자할 계획이다. GEM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는 오는 2029년부터 새만금에서 연간 10만톤의 전구체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에너지기술연구원 관계자는 14일 “중국과의 합작을 통해 전구체 내재화를 이루려는 우리 기업들의 독자적인 시도들이 있다”며 “이전까지는 중국에서 생산한 전구체를 우리 기업들이 수입해 제조했지만, (이러한 상황이) 새만금에서는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광물 가공부터 전구체 완성까지 이루어지는 제조 시설이 한국에 생겨난다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국으로부터의 기술이전이 필요한 시점에서, 한국 기업들이 새만금에서 중국과 협력하는 것은 당연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LG화학 관계자는 17일 “전구체 원자재를 정·제련하는 기술은 중국이 규모의 경제면에서 앞서 있다”며 “광물 채굴에서부터 전구체 완성까지 수직계열화를 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현재는 우리 기업들이 전구체를 저가로 생산하는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해 중국 기업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했다.

반면, 에너지 전문매체 유럽에너지포털(EnergyPortal.eu)은 전구체 생산효율성과 관련, 한국 배터리 업계가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북미 배터리 생산 시스템과 협력해야 한다고 말해 한국 배터리 업계와의 시각차를 드러냈다.

블룸버그NEF(Bloomberg New Energy Finance)는 2021년 11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전구체 공장 건설비용이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보다 3배 가량 높다는 주장을 폈다(중국 정부 보조금 제외시). 비싼 건설부지 획득비와 인건비가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같이 서구 시각의 언론들은 중국의 배터리 산업에 대해 경계의 목소리를 감추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배터리 업계는 새만금에서 전구체 내재화를 이루는 등 실리를 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