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은 실체가 없다?
신재생은 실체가 없다?
  • 김태언 기자
  • 승인 2016.04.01 18: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6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즈음해서
▲ 편집국 / 김태언 기자

[한국에너지신문] 2016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가 한 주 앞으로 다가왔다. 본지는 국제그린에너지 엑스포 주관 언론사로 특별취재팀을 꾸리고 관련 기사작성에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하는 이번 전시회는 국내 최대이자 2004년 국내최초로 시작된 신재생 전문전시회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실상은 녹록치 않다. 전시회 관계자들은 이번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는 역대 최저수준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실제 참가업체가 예년 수백 업체 수준에서 수십 업체로 급감했다. 담당자들은 국내신재생시장 수요가 줄면서 대기업, 중소기업 너나 할 것 없이 해외전시회만 찾아다니고 국내전시회는 외면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왜 일까. 분명 정부는 기후변화 맞춰 신재생 관련 예산을 대폭 늘리고 있다. 또한 통계적으로 국내 신재생관련 산업 역시 매년 커지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한데 말이다. 이는 비단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만의 문제가 아니다. 작년부터 올해까지 신재생 관련 국내 어느 전시회를 가도 같은 상황의 연속이다. 책상 위의 숫자는 날로 성장하고 있지만 업계의 현실은 여전히 바닥이다.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기자는 신재생 관련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의 부재도 주요한 이유로 꼽아보고 싶다. 신재생사업을 벌이는 한국전력, 가스공사 등 거대 공기업과 각 지자체에 에너지산업과 수 십여 곳이 있지만 실제 이 방대한 신재생 관련 사업들을 총괄하는 통합부처나 기구는 전무후무한 실정이다.

흔히 기자들 사이에서 우스갯소리로 흔히 신재생은 실체가 없다고 한다. 즉 담당 출입처가 없다는 애기다. 너도나도 전부 신재생 사업을 진행하고 있어 신재생 분야를 취재하려면 산업부, 한국전력 및 한전 출자회사, 수력원자력공사, 각 지자체 에너지산업과, 에너지공사, 에너지공단 내 신재생에너지센터 등 수 많은 유관기관들을 접촉해야 한다. 때문에 신재생 관련 특집이나 심층보도를 하려면 신재생 담당기자들은 이곳 저곳 발품을 팔아야 할 곳이 한 두 곳이 아니다.

현재 유일하게 신재생에너지분야를 전문적으로 한다는 곳은 에너지공단 내 신재생에너지센터를 꼽을 수 있지만 담당직원 불과 백 여명 남짓이며 자체 예산은 수 십 억원 정도에 불과하다. 실례로 작년부터 도입된 신재생에너지연료 혼합의무화제도(RFS)는 신재생에너지센터가 석유관리원과 협업하고 있지만 담당직원 1명에 불과해 현재 통계조차도 제대로 잡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혹자는 신재생 또한 한전의 부가사업 정도로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 아직은 신재생은 곧 전력이라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미 한전 밑에는 각 발전회사들과 각 연구원, 한국해상풍력 으로 이어지는 관련 신재생 사업들이 즐비하다. 따라서 한전이 움직이지 않으면 국내에서는 신재생은 없다라는 애기까지도 들린다.

정부는 막대한 예산을 들여 민간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활성화 시키려 노력하지만 전시회로 대변되는 현실은 이 같은 상황이다. 왜 국내신재생 수요는 늘고있지 않은지. 왜 국내업체들은 국내신재생 시장을 외면하는지. 정부는 다시한번 생각해야 한다. 각 에너지 관련 공사 및 지자체에서 남발하는 신재생 사업들만 한데 묶어서 통합해도 국민혈세 수 백억은 절약할 수 있을 듯하다. 이를 통해 신재생 관련 통합 기구가 탄생한다면 오히려 국내 민간 신재생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지 않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