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산업화 ‘골든타임’ 놓치지 말아야
연료전지 산업화 ‘골든타임’ 놓치지 말아야
  • 한국에너지
  • 승인 2014.08.04 09: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기업의 연료전지 기술·제품 개발 속도를 정부의 정책지원이 따라가질 못하고 있어 우려된다.

지난해 11월 경기도 화성 발안공단에 60MW에 이르는 발전용 연료전지가 조성된데 이어 지난달에는 경기도 평택에 이보다 6배 큰 360MW의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계획이 발표됐다. 연료전지는 이처럼 도심형 분산발전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상업용·건물용 소규모 연료전지 시스템도 정부의 그린홈 보급사업과 공공건물의무화 등에 힘입어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전기요금과 높은 LNG 가격 때문에 좀처럼 속도가 나질 않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연료전지는 높은 인구밀도, 좁은 국토면적, 대형 에너지 시설에 대한 주민반대 등에 처한 국내 실정에 적합한 에너지 공급솔루션 중 하나다.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데 있어서도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노후 발전소나 송전망의 취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고, 기상이변이나 정전 등 비상시에도 에너지자립이 가능하다. 게다가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기술로 에너지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원자력, LNG 등은 소수의 글로벌 기업이 기술과 시장을 독점하고 있지만 연료전지는 기술개발을 통해 국내 기업이 충분히 이를 따라잡을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목소리다.

중동과 아시아 등 LNG 가격이 저렴하고 전력요금이 비싼 국가 위주로 진출 가능성도 높다.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에서 연료전지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적용 분야 역시 건물, 선박 등 다양하고, 소재·부품 등 산업파급 효과도 매우 크다. LNG 외에 바이오가스, 부생가스, 석탄가스 등 연료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중심으로 연료전지 산업 육성과 기술개발 지원을 늘리고 있다. 블룸에너지는 전세계 SOFC 시장을 이끌고 있고, 일본 소프트뱅크는 블룸에너지와 조인트벤처를 세우고, 후쿠오카에 실증 후 적용을 늘릴 계획이다. GE도 2016년 1MW급 제품출시를 목표로 최근 SOFC 연구개발을 재개했다.

우리 기업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포스코에너지는 관련 사업에 진출한지 10여년이 흐른 2014년 현재 단독 발전으로 발전효율 47%(MCFC 기준)를 달성했으며, 오는 2016년에는 복합발전 효율 60% 이상 달성이 가능하다고 한다. 올해 말 셀 공장을 준공할 예정인데 이로써 국산화율 100% 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 초기 20개사에 불과했던 관련 소재·부품 중소기업은 300개사로 늘어날 전망이다. LG도 롤스로이스 지분을 인수해 오는 2016년 1MW급 SOFC 실증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두산도 최근 퓨얼셀파워와 클리어엣지를 잇따라 인수하는 등 관련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도 이 같은 연료전지의 잠재 가능성에 주목해 기술개발과 국산화, 보급 확대를 위한 지원에 적극 나섰다. 지난 2004년 태양광, 풍력과 함께 3대 신재생에너지 집중 육성분야로 선정한데 이어 2009년에는 3대 국가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선정해 집중 육성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11년 녹색성장위원회는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 도입계획을 대통령에게 보고하기도 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도 산업부와 서울시 등 중앙과 지방정부의 정책 지원이 지속됐다. RPS(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 REC 가중치 2.0을 적용받고 있고, 올해 1월 확정된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분산전원 발전비중을 2035년 15% 이상 확대하기로 해 보급에 청신호가 켜졌다. 원전하나줄이기를 추진 중인 서울시 역시 도심형 분산전원으로 연료전지를 선택, 집중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우리 기업과 정부가 지속적으로 투자와 지원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료전지 산업화 속도가 더딘 것이 현주소다. 2008년부터 지속적으로 가격이 상승한 LNG 가격이 가장 큰 이유라는 것이 업계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업계는 발전용 연료전지에 대해 열병합이 아닌 냉방용 요금을 적용해달라고 수년째 건의해 왔고, 정부도 연료비 연동제를 약속해 놓고도 지키지 않고 있다.

연료전지 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다. 글로벌 연료전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허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볼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