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인력, 중장기 수급대책 필요할 때
원자력 인력, 중장기 수급대책 필요할 때
  • 서영욱 기자
  • 승인 2010.05.10 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6개의 원전이 건설 중인데다 UAE 원전수출,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수출 등으로 인해 인력 충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뿐만 아니라 중소형 원자로, APR+ 등의 연구 인력과 원자력 안전 규제 인력도 부족한 상황이다. 또 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기술원, 한전원자력연료의 고령화 문제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년까지 원전 80기 수출 목표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다.

지난 3월 파리에서 열린 원자력정상회의에서도 원자력 인력 수급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졌고 OECD 산하 원자력에너지기구에서도 지난 2007년 인력 확보 필요성에 관한 선언문을 채택하는 등 원자력 인련 수급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지경부는 올해 안에 원자력관련 8개 공공기관에 한수원 600여명, 한전KPS 460여명 등 총 2200여명의 인력을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단순히 채용계획을 늘리고 자금을 투입한다고 해서 간단히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가장 큰 걸림돌이 공기업 선진화 방안이다. 정책의 취지는 옳지만 현재 무조건적인 공기업의 인력 감축을 요구하는 상황에서 원자력계의 인력을 대거 확충하는 것은 납득하기가 어렵다. 원자력 업계에서는 증원도 되지 않는 도루묵이 될 수밖에 없는 정책이다.

단시간 대규모 충원은 회사 입장에서 향후 인력운영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고 질적 저하를 불러 올 수도 있다. 또 원자력 업계의 특성상 장기간의 교육 훈련이 필요한데 제한적인 자금과 장소로 회사가 감당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원자력 발전 점유율을 6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을 가지고 있다. 원전의 수명이 40년 이상인 것을 감안하면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의 문제는 일회성으로 끝낼 것이 아니라 중장기 수급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지난 6일 열린 ‘제257차 원자력위원회’에서 정운찬 국무총리가 원자력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5년간 150억원을 투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방침이 공염불에 그치지 않고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원전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