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지대에 놓인 펠릿산업
사각지대에 놓인 펠릿산업
  • 한국에너지
  • 승인 2019.10.28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에너지신문] 이번 국정감사에서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이 목재펠릿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5개 발전사가 지난 4년간 석탄발전소에 사용한 수입펠릿은 440만748톤으로 약 7625억 원에 달했다. 이에 비해 국내산은 14만 톤이고, 액수로는 약 426억 원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자료는 보안을 이유로 기자들의 취재를 통해서는 취득하기 어려운 내용이다.

발전사는 의무적으로 펠릿을 혼소(混燒)해야 하지만 석탄보다 비싼 펠릿을 사용하는 데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본적으로 재생에너지 소비를 늘린다는 차원이라지만 굳이 재생에너지를 외국에서 수입해서까지 사용량을 늘려 나가야 하는가. 이는 문제가 있다. 재생에너지의 근본적인 취지는 화석에너지 사용을 대체해 나감과 동시에 내재된 에너지 자원을 개발하는 것이다.

석탄발전소의 펠릿 혼소 문제는 이밖에도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정부가 생산은 염두에 두지 않고 대량 소비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펠릿 가격을 올려 놓은 것이다. 톤 당 3~4만 원 하던 것이 몇 배가 뛰었다. 이로 인해 적은 량의 일반 소비자들은 가격도 비싸고 구하기조차 어려워졌다.

김 의원이 구체적으로 문제점이나 산업의 발전 방안에 대해서 지적하지는 않았으나 재생에너지 가운데 사각 지대에 놓여 있는 것이 펠릿 산업이다.

정부가 펠릿 사용량을 재생에너지 소비 통계로 잡고 있을지는 몰라도 펠릿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는 없다. 이제는 산림자원이 세계 어느 나라에 비해서도 결코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목질계 연료화 정책은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생산업자가 요령껏 생산하고 요령껏 판매하는 것이 전부다.

목재 연료 산업이 발전한 독일이나 오스트리아의 경우는 역사가 있어서일까, 정책을 잘해서일까? 어떻든 이 나라들이 목재 연료 관련 정책을 체계적으로 하고 있다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들 나라는 목재 연료 생산지를 중심으로 소비체계를 만들어 근거리에서 공급하고 있다. 중량물을 장거리 수송하면 채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국민소득이 우리보다 2배나 높지만 불편을 감수하면서 목재 연료를 사용하는 것도 매우 인상적이다. 에너지를 자급한다는 의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최근 산림자원이 풍부해지면서 벌목이 상당히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목재를 채취하고 난 이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나무들까지 사실상 버려지고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수거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을 감안하면 전기나 가스에 비해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아무리 그래도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활용하지 않는 것은 낭비다.

그동안 산림청을 비롯하여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여러 방안을 모색하기는 하였으나 이렇다 할 묘안을 찾지 못하고 지금까지 흘러오고 있다.

이 정부가 재생에너지 정책을 추진한다면서 정작 태양광과 풍력 밖에는 아는 것도 하는 것도 없다. 목재 연료의 문제만은 아니다. 소수력과 태양열 등 우리가 가진 재생에너지 자원이 엄청난데도 거들떠보지 않는다. 눈을 조금 더 크게 떠야 진짜 ‘에너지 전환’의 길이 보일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