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수소경제 실행 로드맵
[전문가 칼럼] 수소경제 실행 로드맵
  • 박진남 경일대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
  • 승인 2018.12.17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진남 교수
박진남 교수

[한국에너지신문] 수소에너지와 관련된 국제기구로는 IPHE(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Hydrogen and Fuel Cells in the Economy, 국제 수소연료전지 파트너십)와 Hydrogen Council(수소위원회)이 있다.

IPHE는 수소 및 연료전지 분야의 활성화를 위해 2003년 11월에 각국 정부 차원에서 결성한 협력기구이며, Hydrogen Council은 2017년 1월에 글로벌 완성차 및 에너지 13개 업체가 수소전기차 및 수소에너지 확대를 위해 구성한 위원회이다.

두 기구 중에서 수소위원회가 보다 수소에너지 산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2017년 11월에는 ‘글로벌 수소경제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수소에너지의 보급 확대에 따라 2050년에 최종에너지 수요량의 20%를 수소에너지가 담당하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60억 톤 감축하며, 수소경제의 규모는 2.5조 달러, 관련된 고용 창출은 3000만 명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편 지난 12월 5일 개최된 국회 신재생에너지포럼에서 ‘한국 수소산업 로드맵 보고서’가 발표됐다. 보고서 작성은 맥킨지에서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2050년 최종에너지 수요량의 20%를 수소에너지가 담당하고, 질소산화물 및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을 30% 저감하며, 수소경제의 규모는 70조원, 관련된 고용 창출 60만 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국내 수소생산 규모가 연간 200만 톤 미만인데 비해 2030년 수소 수요량 500만 톤, 2050년 수소 수요량 1700만 톤을 제시하고 있다.

맥킨지에서 제시한 국내 수소산업 로드맵은 전체적인 윤곽을 제시한 것이며, 제시한 미래의 수소 수요량 규모를 볼 때, 굉장히 공격적인 목표를 제시한 것으로 판단된다. 수소산업은 일반적인 산업과 달리 자생적인 성장보다는 공적인 투자에 의해 육성되는 산업이다. 또한 수소산업 활성화 시점을 앞당기려면 투자를 늘려야 하므로, 공적인 투자의 규모와 시기, 그리고 방법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정부가 올해 8월에 3대 혁신성장 전략분야의 하나로 수소경제를 선정한 이후로 다수의 정부  부처와 많은 지자체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기획, 포럼 개최, 정책 활동을 앞 다투어 추진하고 있는 형국이다. 수소경제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입장에서는 고무적인 일이기는 하나 모두가 장밋빛 미래만 바라보고 있는 것이 아닌지 걱정이 된다. 수소경제 실현은 절대로 편안한 길로 도달할 수 있는 목적지가 아니다.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많은 난관을 헤쳐나가야 할 것이며, 국가 및 기업의 대규모 선투자 또한 필요하다.

지금은 앞만 보고 밀어붙이기보다는 다소간 숨을 고를 때이다. 관련된 정부 부처 간에 긴밀한 협의를 통해 전체적인 로드맵을 공유하고, 이의 실현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정부부처, 지자체, 기업, 연구기관의 역할을 나누어 수소경제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물론 수소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이의 수요자이면서 동시에 수혜자인 국민의 공감대와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