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슈퍼그리드’, 한·중·일·러 청정 전력망 연계 에너지 수급 안정성 확보
‘동북아 슈퍼그리드’, 한·중·일·러 청정 전력망 연계 에너지 수급 안정성 확보
  • 오철 기자
  • 승인 2018.05.21 13: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간 24주년 특집] 아시아 에너지 벨트 ‘동북아 슈퍼그리드’

[한국에너지신문] 재생에너지의 역설. 재생에너지가 필요한 곳에는 에너지가 부족하고 재생에너지가 설치된 곳에서는 에너지가 남아돈다는 것이다. 이처럼 재생에너지는 지리적인 요건이 절대적이다. 하지만 몽골 사막의 남는 태양광 전력을 서울로 공급하고, 사할린에서 남는 풍력 전력을 일본 도쿄로 공급한다면 어떨까? 이처럼 다국가 간 광역 전력망 연계를 통해 전력자원을 상호 공유한다면 문제는 해결된다. 그게 바로 ‘슈퍼그리드’다.

■ 슈퍼그리드의 핵심, 고압직류(HVDC) 

슈퍼그리드의 핵심인 고압직류(HVDC) 송전 케이블

국가를 초월한 광역 송전망 구축, 즉 슈퍼그리드를 실행하기 위한 시도가 1990년대부터 있었지만 그때는 꿈 같은 이야기였다. 하지만 현재 북유럽, 남유럽, 아세안, 아프리카까지 슈퍼그리드가 추진·운영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꿈의 이야기가 현실이 된 것이다. 이를 가능케 한 것은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 고압직류(HVDC) 송전, ICT 등의 기술이 발전했기 때문이다.

이중에서도 HVDC 기술은 슈퍼그리드의 핵심이며 슈퍼그리드를 가능케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직류(DC)는 장거리 송전 시 교류에 비해 손실이 적지만 고압 변전이 힘들어 전기를 멀리 보내지 못했다. 그래서 송전 시 유연하게 전압을 바꿀 수 있는 교류(AC)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교류는 국가간 송전이 어렵다. 고층 송전탑에 두꺼운 케이블을 사용하면 경제성이 떨어져 송전선을 땅에 매설하는 지중화가 필요한데 교류 지중케이블은 20km가 한계다. 

마침 직류는 전압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 기술이 발전하면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해지게 됐다. 전자파, 전력 손실도 적다. 국경이 붙어 있는 국가들은 이러한 장점을 살려 예전부터 HVDC 광역송전 시스템을 설계했고 이는 슈퍼그리드로 발전했다.

■ 세계는 이미 슈퍼그리드 진행 중

일반인들은 외국에 전력을 수출하는 나라가 있냐고 말하지만 한국과 일본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 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거나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인 슈퍼그리드 프로젝트로는 북해연안의 해상육상풍력, 수력 등을 활용하는 북유럽 슈퍼그리드,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태양·풍력 에너지 전원을 활용하는 남유럽 슈퍼그리드, 남아프리카 지역 콩고강의 풍부한 수력자원을 활용하는 남아프리카 슈퍼그리드, 라오스의 수력자원을 중심으로 활용하는 동남아시아국가 슈퍼그리드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북유럽 슈퍼그리드가 가장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고 남유럽 슈퍼그리드도 최근 의미 있는 사업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북유럽 슈퍼그리드

북유럽 슈퍼그리드(Nord EU Supergrid)는 2009년 12월 북해 연안국가인 독일, 영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덴마크, 스웨덴, 아일랜드, 노르웨이가 슈퍼그리드 구축에 합의하면서 시작됐다. 2050년까지 3단계에 걸쳐 추진하는 것을 계획하고 있으며 1단계에서 25~30GW 전력공급을 시작으로 최종 500GW를 유럽 전력 시장에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투자규모는 1단계(2020년) 388억 달러, 2단계(2030년) 1343억 달러, 3단계(2050년) 3260억 달러 등 총 4491억 달러로 추산된다.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2009년 9개국 10개 기업이 참여해 ‘Friends of the Supergrid(FOSG)’라는 사업추진 기관을 설립했으며, 이후 스페인, 그리스 기업이 추가로 참여해 현재는 16개 기업이 동참하고 있다.

 

남유럽 MENA 슈퍼그리드

남유럽-MENA 슈퍼그리드(Sud EU-MENA Supergrid)는 사막 지역의 풍부한 태양·풍력을 활용해 청정에너지를 공급한다는 구상으로 2003년 로마클럽에서 제안됐다. 2009년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독일 함부르크의 Desertec 재단, 뮌헨에서는 벤더 및 금융기관 12개 기업이 참여한 DII(Desertec Industrial Initiative)가 창립됐고 이후 20개 기업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1차 사업단지로 선정된 모로코 태양열 발전단지의 수익모델 불확실성에 따라 재원조달의 어려움을 겪었고 아랍의 봄 이후 계속된 지역의 정세 불안, 재단과 DII사이의 주도권 다툼 등으로 2014년 1차 계약기간 만료 시점에 독일 REW Group, 중국 SGCC, 사우디 ACWA Power를 제외한 17개 기업이 탈퇴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다행히 1차 사업인 모로코 태양열 발전단지 1기(Noor1, 설비 용량 160㎿)가 2016년 2월 완공 후 사우디 ACWA으로 판로가 결정되고 2015년 DII 본부가 두바이로 이전하면서 터키가 사업에 추가로 참여해 현재는 33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는 ‘Supporters of Desert Energy’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DII는 2050년까지 유럽 전력 수요의 15%(470GW) 공급을 목표로 약 4000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MENA 지역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50% 감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남아프리카 슈퍼그리드

남아프리카 슈퍼그리드(Grand Inga Project)는 남아프리카 지역 콩고강(포장수력 100GW)에 이미 건설된 Inga1(351㎿) 및 Inga2(1424㎿), 건설 중인 Inga3(4800㎿) 외에 설비 용량 39GW 규모의 Grand Inga 수력발전소를 건설해 북으로는 이집트 카이로, 남으로는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에 전력을 공급하려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전체 투자금액은 발전소 건설, 송전선로 건설 등 인프라 투자를 고려할 때 약 35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투자 포기와 사업자 선정 입찰 추진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으며, Inga3 발전소의 환경타당성조사 및 사회영향평가를 위해 73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한 세계은행이 2016년 7월 콩고민주공화국 정부의 사업계획 변경과 건설지원 투명성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자금지원을 동결하는 등 계획 지연 요소가 발생해 최종 단계인 Grand Inga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는 상당기간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 동북아, 80년대 후반부터 다양한 형태 슈퍼그리드 제안…한·중·일·러 중심 협력 진행 

2016년 3월 한국(한국전력), 중국(SGCC), 일본(소프트뱅크), 러시아(로세티)는 전력망연계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러시아 및 몽골의 풍부한 에너지 지원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역내 전력 대수요처 국가인 한국, 중국, 일본에 공급해 활용하는 구상으로 제시됐다. 이를 통해 에너지자원의 효율적 이용, 신재생에너지 이용확대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 전기 가격 인하를 통한 참여국의 복리후생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동북아 지역의 자원보유 특성, 상이한 전력부하 구조 및 전원구성 등으로 전력수급의 상호 보완성이 매우 높아 세계 여타 지역보다 전력망 연계의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1980년 후반부터 동북아지역 전체를 하나로 연결하는 전력망 연계 구상이 시작됐고 주도 국가 및 기관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슈퍼그리드가 제안됐다.

우선 1990년 후반에 러시아 ESI가 주도한 동북아 전력시스템 연계(NEAREST, Northeast Asian Electrical System Ties)는 1990년대 후반에 러시아와 한국 전기연구원이 공동연구를 통해 제안된 것으로 동북아 슈퍼그리드와 관련하여 최초로 제시된 구상이다. 러시아 극동지역 부랴야 수력발전을 비롯해 연해주 원전, 화력발전이 주요 발전원이다. 

아시아 슈퍼그리드(Asia Super Grid)는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2011년 제안한 것으로 지역적 범위를 동북아 지역을 포함하여 동남아 및 인도에까지 확대하는 구상으로 주요 발전원은 몽골 고비사막의 풍력과 태양광에너지 발전이다. 

고비텍·아시아슈퍼그리드(Gobitec and Asian Super Grid)는 2014년 Energy Charter 주도하에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 ESI(러시아), 몽골 에너지부 및 JREF(일본) 등이 참여한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제안된 것으로 기존 아시아슈퍼그리드의 수정판으로 송전망이 러-북-한-일로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글로벌 에너지 연계(GEI, Global Energy Interconnection)는 중국 정부의 전략 차원에서 중국 국가전망이 2016년에 제안한 것으로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동북아시아 등 주변국과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를 망라하는 전력망 구축을 목표로 제시됐다.

동북아-동남아-인도를 연결하는 아시아 슈퍼그리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제안했다.
동북아-동남아-인도를 연결하는 아시아 슈퍼그리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제안했다.

이러한 구상 속에서 동북아 4개국은 역내 전력계통 연계사업 추진을 위한 정부 및 추진기관 간 협력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한국전력), 중국(SGCC), 일본(소프트뱅크), 러시아(로세티)는 2016년 3월 전력망연계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단계 사업으로 한·중·일 전력계통 연계사업을 선정하고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진행된 상황이다. 4개국 정부는 이에 기초해 후속 단계 사업추진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러시아와 일본은 기업 간 협의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러·일 정상은 2016년 동방경제포럼에서 러·일 전력망 연계를 논의한 바 있으며, 지난해 2월 로세티 사장은 러시아 투자포럼에서 예비타당성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소프트뱅크를 포함한 일본 기업들은 도쿄올림픽이 개최될 예정인 2020년 7월까지 2GW(1단계)의 전력을 사할린을 비롯한 극동지역에서 공급해줄 것을 러시아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러시아는 일본으로 수출할 전력 규모를 추후 11~14GW 규모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북핵을 비롯한 동북아 긴장 상태를 이유로 전력망 사업을 사업자 간의 협력 사업으로만 인식할 뿐 정부 차원에서는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SGCC)과 러시아(로세티)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에 적극적인 모습이다. 중국으로 러시아 국영전력기업 Inter RAO는 중국으로 전력을 수출하기 위해 8GW 규모의 예르코베츠카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타당성 조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 최대 민간 전력기업 EuroSibEnergo는 중국 최대 국영 수력발전기업인 장강전력과 YES Energo란 합작기업을 설립했고 러시아 국영수력발전기업 RusHydro와 중국 싼샤그룹도 극동지역 수력발전소 공동개발을 목적으로 합작회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아울러 로세티와 SGCC는 전력망 현대화 사업을 위한 합작기업 설립에 들어갔으며 중국개발은행이 연간 최대 1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키로 합의하는 등 러시아와 중국 연계 사업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과 러시아는 슈퍼그리드 논의 전에 이미 2006년 전력계통 연계사업을 한·러 자원협력위원회에서 추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어 2009년에는 전력망 연계 추진을 위한 타당성 공동연구를 착수하지만 북한의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중단됐다. 이후 2013년 정상회담, 2014년 한국전력과 로세티간의 업무협약에 의해 공동연구가 재개됐다. 현재는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2022년까지 일부 구간 착공 및 한-러 간 공동연구 완료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추진 중이다.

또한, 한국은 지난해 12월 중국 국가전망(SGCC) 및 GEIDCO간 한-중 전력망 연계 개발을 위한 MOA 체결과 한국(산업통상자원부)-중국(국가에너지위원회) 간 전력망 연계 공동 연구, 재생에너지, 에너지효율 분야 협력 MOU 체결하는 등 중국과의 전력망 연계 추진에도 적극적인 모습이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8일 일본을 방문해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면담을 갖고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을 논의했다.

■ 이행 의지 및 신뢰성 우선…세부사항은 협의 등으로 해결 가능

슈퍼그리드는 다수의 국가가 참여하는 거대 협력사업이기에 권역 및 개별 국가의 정치·경제·외교·사회적 이해에 따라 상충하는 이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구축을 위한 당사국 간의 공동 발전비전과 목표 제시가 요구된다.

특히, 당사국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진행돼야 하는 사업이기에 이행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여겨진다. 한국에서 열린 전력망 포럼을 찾았던 바얀아르가 소가르(Bayanjargal Sugar) 몽골에너지부 과장은 “각국의 정치적 의지가 분명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북유럽과 같이 협정 체결도 하나의 방안”이라고 정책적 의지에 대한 부분을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각국의 관련 법제도, 관세 방식, 전기 요금, 송전 비용, 기술 타당성 등의 협의도 필요하다. 시게키 미와 소프트뱅크에너지 대표는 “이런 요소들은 기술 발전과 협의에 의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며,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축 사업은 결국 시간 문제”라고 긍정적인 의견을 전했다.

또한, 가긱 자크하리안(Gagik Zakharyan) 러시아연해주 부지사는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다자간 사업 추진 시 서로 간의 이해관계 조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으므로 2개국 또는 2개 기업 등 양자 협력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협의를 우선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경제성을 높이고 사업 추진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북핵 문제를 둘러싼 한반도 긴장 관계 등 정치적 요소가 해소돼야 한다는 게 관련자들의 중론이다. 자크하리안 부지사는 “정치적 측면에서 러-북-남 간 에너지브릿지 사업이 원활히 추진된다면 동북아 관계도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북한을 참여시킬 수 있다면 역내 에너지 협력을 활성화 시킬 뿐만 아니라, 동북아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을 완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화적 측면에서의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장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국가 간 전력망 구축을 동시에 추진하는 데 요구되는 정책적 우선순위 조정과 사업추진을 전담하면서 조율을 담당할 전담기구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북유럽의 FOSG와 남유럽의 DII처럼 전력사업자, 금융기관, 연구기관, 밴더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전담 기구의 설립 및 운영이 요구된다.

■ 슈퍼그리드로 동북아 평화까지…北 관련 긴장 완화에도 큰 도움

한국 중심의 아시아 슈퍼그리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7일,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서 한국도 동북아 슈퍼그리드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한국의 경우 슈퍼그리드를 통해 북한을 좀 더 일찍 국제 무대로 이끌어내 평화체제를 위한 공조를 강화할 수 있기에 추진 의지가 강력하다. 북한을 배제하는 중국, 일본과 달리 러시아는 북한과의 전력 연결에도 적극적이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입장에서는 러시아와 협력해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추진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러시아 극동개발부 장관은 2014년에 북한을 방문해 북한 전력공급을 협의한 바 있다. 이듬해 9월 동방경제포럼에서는 러시아 최대 수력회사인 RusHydro의 계열사가 북한 나선경제 특구로 15~40㎿ 전력을 보내는 공급계획을 밝혔다.

마침 올해 2월 평창올림픽을 시작으로 4월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이 있었고 6월에는 북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동북아 슈퍼그리드의 악재 변수로 남아 있던 ‘북한 리스크’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규재 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는 “북한 리스크가 사라지면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탄력받을 것”이라며, “현재 대북, 북미 대화가 원활하게 진행 중이기 때문에 이러한 정치·외교적인 불안감 해소 자체가 긍정적 영향을 주리라 본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 박사는 “다만 북한이 당장 슈퍼그리드에 포함돼 추진 동력이 될 수 있느냐는 좀 더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며, “앞으로 회담이나 경협에 관련된 후속조치가 필요하고 이것이 이뤄진다면 동북아 슈퍼그리드는 속도를 낼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북한이 동북아 슈퍼그리드에서 포함될 수 있는 그림은 남-북-러 연계 전력망을 들 수 있다. 북한의 전력수급이 심각하다는 전제하에 우선적으로 발전소 건설이 필요하지만 남북러 송전망 구축으로도 어느 정도의 전력난 해소가 가능하다. 송전망을 러시아에서 한국까지 연결하면 북한은 통과국으로서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전기로 대체한다면 일정 부분의 전력수급 해소도 가능하고 발전소 건설 비용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한의 구리 및 광물을 대가로 북한 동해안에 러시아로부터 온 에너지를 공급하는 등 비용적인 부분에서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고 있다. 이 같은 북한의 동북아 슈퍼그리드 포함이 북한을 국제무대로 이끌어 내 동북아 평화 협력 공조체제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