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 ‘버려지는 에너지 효율화 기술’, 교육부 우수연구성과 100선에 선정
울산대 ‘버려지는 에너지 효율화 기술’, 교육부 우수연구성과 100선에 선정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7.10.23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조성래 교수

[한국에너지신문] 울산대 에너지 하베스트-스토리지연구센터(센터장 홍순철, 물리학과 교수)가 개발한 ‘버려지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술’이 교육부의 2017년 100대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로 선정됐다.

이 기술은 폐열과 태양열 등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열전발전 효과를 극대화한 열전 반도체 신물질을 개발한 것이다.

주변에 널려있거나 버려지는 태양에너지, 운동에너지, 열에너지, 전자기에너지 등을 수집해 사용하는 개념인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대표적인 청정에너지 기술이지만 효율을 높이는 것이 관건이었다.

울산대 하베스트-스토리지연구센터는 지난 2009년부터 신성장 녹색기술 개발에 매진해 지난 2016년 효율성을 극대화한 하베스팅 기술을 개발해 이번에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물리학과 조성래 교수<사진>팀은 셀레늄화 주석(SnSe) 결정 가운데 일부 주석을 비스무트(Bi) 원소로 치환한 n-형 셀레늄화 주석 단(單) 결정에서 열전성능지수 2.2, 발전효율 10% 이상인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를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 상용화된 텔루륨화 비스무트(BiTe)계 물질의 열전성능지수는 1, 발전효율은 5% 정도 수준이다.

특히 n-형 반도체인 이 기술은 미국 노스웨스턴대학이 지난 2014년 개발한 열전성능지수 2.6인 p-형 열전반도체와 쌍을 이루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물리학과 조신욱 교수팀은 무거운 실리콘 기반의 무기물 태양전지 대신 가벼운 건물 일체형·태양 창문형 방식이 적용된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해 10.08%의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얻는 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우수한 에너지 효율성에 기능성, 심미성까지 가미된 건물 일체형 태양전지로 활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단점인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건물 내·외관의 디자인 감성 소자로도 활용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