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태양전지 전극, 금 대신 알루미늄으로
차세대 태양전지 전극, 금 대신 알루미늄으로
  • 이욱재 기자
  • 승인 2017.09.25 13: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분 튕겨내는 소수성 가진 ‘불소 그래핀’ 개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알루미늄 안정성↑

▲ 김진영 교수팀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모습. 금이 아닌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하기 때문에 회색 빛이 돈다.

[한국에너지신문] 차세대 태양전지의 전극으로 금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태양전지 제작 단가를 낮추면서 안정성도 높일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 김진영 교수

김진영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그래핀에 불소 원자를 도입한 물질을 이용해, ‘알루미늄 전극을 쓰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를 개발했다. 값비싼 금 대신 알루미늄을 쓰면서도 안정성은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김 교수는 “금 대신 알루미늄을 사용해 전극을 만들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안정성을 극대화해 차세대 태양전지뿐 아니라 다양한 사물인터넷의 전원,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할 기반 기술”이라고 말했다.

최근 활발히 연구 중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의 가장 강력한 후보다. 태양 빛을 전력으로 바꾸는 광전환효율이 실리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20% 이상으로 보고되면서 상용화 가능성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안정성이 낮고, 전극으로 금을 사용해 비싸다는 점 등이 상업화의 걸림돌이다.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공기 중 수분의 영향으로 쉽게 분해돼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김진영 교수팀은 이 문제를 ‘불소 그래핀’을 개발해 해결했다. 탄소 원자로 이뤄진 그래핀에 불소 원자를 도입해 물을 튕겨내는 소수성을 가진 물질을 개발해낸 것이다.

▲ 흑연을 이용해 볼-밀링 기술로 그래핀을 만드는 방식 중 제논플로린(XeF₂) 가스를 주입해, 그래핀에 불소기를 치환하는 방법. 이 방법을 쓰면 불소로 기능화된 그래핀을 제작할 수 있다.

김기환 교수는 “프라이팬을 코팅하는 ‘테플론(Teflon)’이라는 물질은 소수성이 뛰어난데, 이 물질이 탄소와 불소의 결합(C-F 결합)으로 이뤄졌다”며 “그래핀에 있는 탄소 자리를 불소로 치환해 테플론처럼 높은 소수성을 가지는 2차원 물질을 개발하고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전극 층과 페로브스카이트 층 사이에 불소 그래핀을 두는 구조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를 만들었다. 그 결과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었다. 우선 불소 그래핀이 물 분자를 튕겨내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분해되는 현상을 막았다. 또 전극으로 금 대신 알루미늄을 써도 안정성이 떨어지지 않았다.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쉬운 알루미늄의 성질을 불소 그래핀이 보완해 준 덕분이다.

이번에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소자는 유연한 필름에 물질을 코팅하는 과정인 ‘용액공정’으로 제작했다. 용액공정을 이용하면 구부러지고 휘어지는 웨어러블 기기에도 태양전지를 적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을 전망이다. 차세대 태양전지는 기존에 실리콘을 이용하는 무기물 전자 소자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작단가가 낮다는 장점이 있다.

이 기술은 에너지기술연구원-울산과학기술원 차세대전지원천기술센터에서 김진영 교수와 김동석 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제1저자는 김기환 울산과기원 에너지-화학공학부 연구교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에서 기초연구 지원을 받았다. 연구 내용은 나노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9월 15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