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전력예비율 20~22% 전망…7차 계획 대비 최대 2%↓
2030년 전력예비율 20~22% 전망…7차 계획 대비 최대 2%↓
  • 안솔지 기자
  • 승인 2017.08.11 16: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설비분야 초안 발표

전원 믹스 中 원전 비중 줄면서 예비율 감소
신재생·LNG 발전소 더 필요하지만 2030년까지 충분히 보완 가능

[한국에너지신문] 2030년 국가 전력 적정 예비율이 20~22%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발표됐다. 적정 예비율이 지난 7차 계획 대비 최대 2% 가량 감소가 예상되면서, 1GW 규모 원전 2기를 덜 지어도 될 것으로 보인다.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력정책심의위원회는 지난 11일 서울 코엑스에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설비분야 초안을 공개하며 이러한 내용을 밝혔다.

이러한 적정 예비율 감소에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한 몫 한 것으로 보인다. 심의위 관계자는 “탈원전 정책에 따라 전체 에너지 믹스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면서 예비율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적정 설비 예비율’은 발전소 정비나 고장에 대비하기 위한 ‘최소 예비율’과 수요 변동 및 발전소 건설지연 등 수급이 불확실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수급불확실 대응 예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최소 예비율은 발전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LNG 발전의 경우 1년의 약 12%인 44일 동안 가동정지하게 되고, 원전은 1년의 약 20%인 76일 동안 가동정지하게 된다.

즉, 가동 정지될 상황에 대비해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예비율이 LNG보다 원전이 많기 때문에 탈원전 정책에 따라 발전소를 덜 지으면 예비 발전소가 감소하면서 필요한 예비율도 낮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심의위는 2030년까지 5~10GW 규모의 설비를 추가로 건설해야 하지만, 남은 기간 동안 신재생이나 LNG 발전소로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신재생에너지는 올해 17.2GW에서 2030년 62.6GW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태양광과 풍력의 경우 2030년 기준 약 48.6GW로 확대된다.

심의위 관계자는 “다만 신재생발전의 경우 출력변동성이 큰 만큼, 이에 대비하기 위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별로의 백업설비 건설과 계통 운영 방식의 고도화 등 추가 방안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오는 10월까지 수요전망, 수요관리, 전력계통, 신재생, 전원믹스 등을 포함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을 마련한 후, 국회 보고와 공청회를 거쳐 연내 최종안을 확정지을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