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더 예리한 에너지정책을
조금 더 예리한 에너지정책을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7.04.17 10: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에너지신문] 지난 12일 국회에서는 대선후보들의 기후변화와 에너지 관련 정책을 묻는 정당 초청 토론회가 열렸다. 정당 쪽에서야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서 예정된 시간보다 20~30분은 더 잡아먹었다. 기자도 직업을 떠나서는 시민의 한 사람이니, 시민 입장에서는 아쉬운 점이 있었다.

우선 후보의 정책을 직접 그들의 입으로 들을 수 없었다는 것. 짧아진 대선 기간 때문이라고 치면 마음은 편하다. 하지만 그들 자신이 기후변화와 에너지 문제에 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말로는 어떻게 표현하는지, 그 표현에 자신감은 있는지. 그런 다양한 것을 보아야 좀 더 확실할 것 같다. 보고도 속는 게 이 세상이지만, 그렇다고 안 보면 완전히 속는다. 이미 그런 경험이 우리 국민에게는 있다. 한 번이 아니다. 여러 번이다.

둘째는 구체적인 정책이 아니라 키워드가 나열돼 있다는 느낌. 굵직굵직한 사건사고와 마지막으로는 탄핵정국의 뒷수습도 제대로 안 된 상황에서 정책의 세부항목을 어떻게 세웠겠느냐고 변명한다면, 들어주겠다. 하지만 모든 정당의 정책이 다 그런 것은 아니었다. 개중에는 일목요연한 정리가 돋보인 정책도 있었다. 다만 집권 물망에 오르지 않은 당이라는 게 함정이다.

셋째는 핵심을 찌르지 못하는 듯한 토론 전개. 첫째 문제와 둘째 문제 때문에 발생한다. 현실에서야 보좌관의 아이디어가 공약이 되고 공약이 정책이 된다지만, 직접 당사자가 아니다보니 논점을 흐리는 일이 많았다.

문제점만 지적하는 게 좀 야박해 보이긴 하지만, 사실 걱정이 안 되는 게 아니다. 에너지정책이라는, 또 기후변화대응이라는 주제가 안 걸친 데가 없이 여기저기 다 걸쳐 있다. 더구나 들여다보려고 하지 않으면 잘 안 보이는 분야다. 그래서 이렇게 키워드만 늘어놓는 정책으로는 부족하다. 그것도 너무 부족하다.

‘쓰다보면 느는 게 기술이라고, 하다보면 정교해지지 않겠나’하고 지켜보다 보면, 5년 금방 간다. 시간이 없지만, 누구든 예리하게 칼날을 갈아야 한다. 안 갈고 있다면 지금부터다. 그렇지 않으면 에너지업계가, 시민들이 그를 겨누고 칼을 갈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