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축물의 국산 목재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공공건축물의 국산 목재이용 활성화를 위하여
  • 홍정표 한국임업진흥원 박사
  • 승인 2016.02.22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LT(교차집성판)에 의한 국산목재 활용증대 방안
▲ 홍정표 한국임업진흥원 박사

[한국에너지신문] 작년 파리에서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에 따라 산림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

탄소흡수능력이 떨어지는 장령목을 벌채하고 재조림해 지속가능 탄소순환 체계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탄소저장체인 국산목재는 어떻게 쓰이고 있을까?

국산목재 자급률은 약 17% 정도이다. 즉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만지고 보며 느낄 수 있는 국산목재는 매우 드물다는 이야기다.

우리 생활주변을 살펴보면 대부분 수입목재가 사용되고 있다는 뜻이다.

입업선진국의 경우 선 용재-후 연료재이용 순화체제를 갖추고 있다. 이것이 기후변화대응협약에서 이야기하는 목재의 순차적 이용체계(cascaded use)이다.

우리나라도 건축용 목재의 소비시장을 키워 국산목재 이용의 활성화를 하고자 하는 목표와 노력은 이미 산림청 목재이용종합계획에도 잘 나타나 있다. 하지만 국내 현실에서는 어렵다는 시각이 많다.

해법은 임업 선진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바로 CLT라 불리는 공학목재이다.

차집성판 또는 CLT(cross-laminated timber)라 불리는 공학목재의 개발과 상용화는 목재를 이용한 다층건축이 가능하게 만들었다. 건축물로부터 발생되는 탄소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서 세계적인 목재이용의 혁명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CLT란 제재목 층재를 합판처럼 서로 교차하여 접착⋅집성한 구조용 목재제품으로 첨단 목재가공기술과 건축구조공학이 융합되어 목조건축물을 고층화 및 대형화시킨 혁신적인 공학목재제품이다. 소경간벌재 등 저품질 원목의 이용이 가능하며, 규격화된 제재목(층재)의 대량생산을 통하여 국산원목의 가격경쟁력도 높일 수 있다.

아래사진은 화천에 세워진 목재문화체험장 건물과 공공건축물 목재이용 촉진법을 시행하고 있는 캐나다의 주민센터 건설현장이다. 화천 목재문화체험장은 구조용 집성재를 골조로 한 목조건축물이다.

▲ 목재문화체험장(화천)

우리나라의 건축문화 특성상 북미식 목조주택이나 한옥을 통한 국산목재 이용 활성화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라 생각한다. 잘못된 생각이다.

▲ 공공건축물 목재이용 촉진법을 시행하고 있는 캐나다의 주민센터 건설현장

규격화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집성재나 CLT용 층재 생산이 국산목재 이용의 최적 방법이라는 것은 국내⋅외의 많은 연구결과가 말해주고 있다. 구조용 집성재와 CLT 제품은 국내 다층 건축문화와 잘 어울릴 것이다.

기존 건축자재들을 목재제품으로 대체 시 1㎥당 약 2톤의 이산화탄소배출 저감 효과도 있다고 한다.

운송에너지 감축, 탄소흡수원증진, 지역경제발전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에서 생산, 제품화, 소비될 수 있는 건축자재로 세계가 다시 주목하는 재료가 바로 목재인 것이다.

이에 발맞춰 현재 한국임업진흥원(원장 김남균)은 지역간 벌재 제품 인증사업, 목재제품 LCI DB 구축사업, 목조건축의 산림탄소흡수량 인증 등, 공공건축물에 대한 목재이용 촉진 법제화에 필요한 기반 사업들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난연목재, 집성재, 합판 등 목재제품의 품질을 보증하는 KWood(목재제품)인증과 KS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이들 인증제품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재자원이 없는 영국이 왜 대형목조건축의 대명사 되고, 캐나다 정부는 우리나라 국토면적의 두배나 되는 소나무딱정벌레 피해목 처리를 위해 목재우선법을 시행하고 CLT 공장 건설을 적극 지원하였는지? 그리고 가까운 일본에서 ‘공공건축물 목재이용 촉진법’을 시행하고 중장기 CLT 생산설비 확충 로드맵에 따라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는 이유를 면밀히 검토해 볼 때이다.

우리나라도 산림청, 국토교통부, 환경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부처간 협업과 소통을 통하여 공공건축물 목재이용활성화 법제화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논의할 때가 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