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여행] 영월태양광 발전소를 가다
[에너지여행] 영월태양광 발전소를 가다
  • 한국에너지
  • 승인 2016.01.11 11: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동양 최대 규모의 영월 태양광 발전소 전경. 영월발전소 부지는 산을 깎아 만든 것으로 원래는 모 재벌 기업이 골프장을 만들기 위해 확보해 놓은 부지였다.

[한국에너지신문]

180여 억 매출 출발 순조로와

7년의 사업 진행과정 이야기 들으니 가슴아파

그 과정 기록. 
징비록으로 삼을 터

 

▲ (주)영월에너지스테이션 김정태 대표이사

동양 최대 규모라는 영월 태양광 발전소. 제천을 지나 영월로 들어가는 길 오른쪽 산등성에 이마처럼 보이는 곳이다. 그리 멀지도 않컷만 가지 않았던 것은 나름대로 사연이 있었다.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여기저기서 들려오는 잡음에 마음이 내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월 태양광 발전소를 가보지 않겠냐고 권유한 사람은 평소 존경하는 대 선배분이었다. 마음이야 어쨌던 대 선배분의 말씀에 두말없이 따르니 발전소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김정태 회장님이 만나자는 약속을 잡았다.

삼성동 모 식당에서 만난 세 사람. 올해 70이라는 나이가 밑겨지지 않을 풍모가 준수한 노신사라 할 수 있는 김 회장과 필자는 대 선배님 앞에서 어린애처럼 떠들었다. 족히 2시간 가까이 이야기를 나누고 지난 5일 영월을 방문하기로 약속을 잡고 헤어졌다. 


고민이 생겼다. ‘나누었던 이야기를 기사로 옮겨야 되나마나’ 들은 이야기를 어디까지 써야할지는 많은 기자들의 공통된 직업상의 문제이다.

30만평 부지에 40메가와트. 말은 들어도 감이 오지 않는다. 옛날 군 시절 근무하던 부대가 30만평이었다. 적은 부지가 아닌데. 하는 생각만 들 정도다. 이마만 보이는 발전소는 험한 길을 한참 돌았다. 토목공사를 한 민낯이 그대로 드러난 흙길을 올라서니 주변이 전부 모듈로 뒤덮혀 있다. 예상은 했지만 사진기를 가져간 의미는 없었다. 항공사진이 있을 법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발전소는 산 능선은 깎고 구릉은 메우고 암석으로 이루어진 산에 건설하였다. 모듈을 6미터 높이에 설치하여 8만평 토지를 복토를 하여 만들고 산마늘 허브를 재배한다는 설명이었다.

태양광 발전소 모듈 밑에 농사를 짓는 것도 세계적으로 유일하다고 한다. 이런 식으로 해서 영월 발전소는 건축물로 인정하여 가중치가 1.5. 여느 발전소와 달리 발전소 자체가 건축물이다.

영월 발전소는 2007년 말, 정부의 허가를 받아 각종 인허가로 7년이나 긴 세월을 허비한 끝에 8개월 간의 공사로 2014년 1월부터 가동하기 시작하였다. 험난한 여정을 겪고 태어났지만 어려운 여건 속에서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 전체 1400억 원을 투자한 이 사업은 금융권의 투자가 1260억 원. 지난 2년간의 한해 매출은 약 180억이 넘는다. 원리금과 이자를 160억 갚고도 운영자금에 여유가 있다.
 
국내 최대 태양광 발전소의 명성을 얻은 영월군청은 올해 첫날 해돋이 행사를 이곳에서 가졌다. 우리가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것은 겨우 10년. 영월 발전소의 태생은 대단한 성과물이라 아니할 수 없다. 

하지만 이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영월발전소 부지는 산을 깎아 만든 것으로 원래는 모 재벌 기업이 골프장을 만들기 위해 확보해 놓은 부지였다. 강원도 전 유력인사가 ‘부지가 있으니 무슨 사업을 해보라’는 제의를 받고 김 회장은 당시 골프장 사업이 사양길이어서 태양광 사업을 하기로 했다.

그러나 허가도 우여곡절 끝에 받았지만 허가 이후 7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고통을 감내해낸 인고의 산물이었다. 산자부는 허가를 내주고도 하부 고시나 규정을 바꾸어가면서 사업 진행을 가로막았다. 급기야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까지 가는 사태를 겪으면서 산자부 담당 공무원들의 자세 전환으로 뜻을 이룰 수 있었다.

사례를 소개하면 산자부는 산림이 우거진 곳을 파기한다면서 거부하자 당시 박모 차관과 영월군수가 멱살잡이까지 했다고 한다. 산자부 내에서 다른 곳의 사진을 보고하여 산림 파괴로 몰아붙인 것이다. 또 한 번은 산자부가 환경부와 산림청에 생태 산림 파괴가 우려된다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고 한다.

세월이 지나 마음이 많이 가라앉기는 했지만 국내 사업은 두 번 다시 하지 않겠다고 했다. 중국이나 몽골 쪽에 신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의 치부를 너무 드러내는 것도 문제지만 덮어 놓는 것도 문제이다. 그래서 자세한 이야기는 줄이고자 한다. 허가 과정을 마무리 하는데 7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면 이유를 불문하고 우리 사회의 중병이다. 자세히 조사 기록하여 ‘징비록’처럼 후대에 두 번 다시 되풀이 하지 않도록 귀감으로 삼고자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