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는 석유비축기지, 미래는 문화비축기지
과거는 석유비축기지, 미래는 문화비축기지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6.01.05 20:0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4만㎡ 마포석유기지, 시민 문화공간 된다
▲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실내·외 공연장, 전시장, 공원 등을 갖춘 시민 문화시설로 변신한다. (사진제공=서울시)

[한국에너지신문] 1976년 설치된 이후 1급 보안시설로 시민들의 접근과 이용이 철저히 통제됐던 총 14만㎡ 규모의 ’마포 석유비축기지‘가 실내·외 공연장, 전시장, 공원 등을 갖춘 시민 문화시설로 변신하기 위한 준비를 마쳤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마포 석유비축기지 재생 및 공원화 사업’을 착공했다. 서울 성산동 산 53-1 일대에 자리했던 ‘마포 석유비축기지’는 1974년 제1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서울시에서 비상시에 대비해 1976년 민수용 유류를 저장하기 위해 건설했다. 이 때문에 지난 40년간 시민의 접근히 철저히 통제됐다.

서울시는 이 공간을 서울을 상징하는 대표 친환경 복합 생태·환경·문화공간으로 재생시킬 계획을 세웠던 것. 마포 기지는 그동안 지역주민과 마포구 측이 꾸준히 공원화사업 건의를 해 왔다.

시는 지난해 8월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한 후 계약심사, 사전재해영향성 검토 협의 등 각종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시공 입찰을 진행했다. 그 결과 텍시빌(대표 이형우)을 시공업체로 선정해 계약을 체결했다. 사업관리는 무영CM(대표 박성근)을 용역업체로 선정했다.

시는 이 사업을 위해 국제 현상 설계를 공모해 당선작으로 ‘땅으로부터 읽어낸 시간’을 선정해 이를 바탕으로 기본설계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실제 기획·연출·운영 실무 전문가로 구성된 ‘워킹그룹’ 자문회의를 15회, 각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설계자문위원회’를 22회 개최해 회의 결과를 최종 설계도면에 반영했다.

사업부지 총 14만㎡는 공연장, 전시장, 정보교류센터 등이 들어설 ‘유류저장탱크’ 10만1510㎡, 공원으로 조성될 ‘임시 주차장 부지’ 3만5212㎡, 접근로 3300㎡로 구성된다.

들어서게 될 주요시설은 실내·외 공연장, 기획 및 상설 전시장, 정보교류센터 등이며 1일 최대 11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다. 외부 공간에는 산책로, 야생화정원, 공연마당 등을 반영해 시민들이 휴식과 함께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석유 4894만 리터를 보관하던 5개의 유류저장탱크 중 2개는 해체 후 신축하고, 여기에서 해체된 철판을 재조립해 1개 탱크를 신축한다. 나머지는 그대로 존치하거나 최대한 원형을 보존해 사용한다.

현재 접근이 불가능한 비축탱크를 둘러싼 암반을 절개하고 진입로를 만든다. 석유비축기지 건설 당시 암반 속에 탱크를 설치하기 위해 암반을 절개 후 탱크를 앉힌 뒤 다시 암반을 복구했던 것을 거슬러 올라가는 역순의 과정으로 공사가 진행된다.

해체된 탱크로 암반지형과 콘크리트 옹벽을 이용해 건물을 신축하기도 한다. 이 공간은 다목적 파빌리온(1번), 실내·외 공연장(2번)으로 변신한다. 원형이 보존되는 탱크는 시민, 학생들을 위한 학습공간으로 운영한다.

기존 탱크 안에 유리천장과 유리벽으로 된 투명 탱크가 들어간 독특한 형태의 기획 전시공간으로, 내·외부의 공간개념을 전환, 내부는 그대로 둬서 기존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설치하는 탱크도 있다. 외부와 콘크리트 옹벽 바깥부분은 ‘석유비축기지’부터 ‘문화비축기지’까지 40여 년의 역사를 기록하는 전시장으로 만들어진다. 최대 3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정보교류센터’로, 서울의 도시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지는 탱크도 있다.

초기 계획에서는 빠져있었지만 검토 끝에 기본설계 과정에서 포함된 임시 주차장 부지는 구체적인 활용계획 수립 시까지 재생 및 공원사업의 프로그램 운영 전초기지 및 주민을 위한 휴식장소를 조성한다.

오해영 서울시 푸른도시국장은 “드디어 첫 삽을 뜨는 마포 석유비축기지 재생 및 공원화 사업을 통해 과거 산업화 시대 석유를 저장하던 탱크가 그동안 시민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특별한 시설들로 채워질 것”이라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산업화 유산이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문화시설로 재생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