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냉방 활성화 … 갈 길이 멀다
지역냉방 활성화 … 갈 길이 멀다
  • 이소연 기자
  • 승인 2014.08.27 22: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초기' 투자비 부담이 가장 큰 걸림돌

지역냉방이 국내에 처음 도입된지 20년이 넘었다. 1993년 상업운전을 시작한 지역냉방은 그러나 제도·정책 지원에도 불구하고 보급은 지지부진한 상태. 지역냉방의 장점을 십분 활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보급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업계는 입을 모으고 있다. 

에너지관리공단이 27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한 '지역냉방 활성화 포럼' 참석자들은 관련 정책, 기술수준 등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보급 확대를 위한 대책을 함께 모색했다.

에너지관리공단 집단에너지실 이삼택 팀장의 발표에 따르면 지역냉방은 하계 냉방 부하의 0.9%를 담당하면서 전력피크 163MW를 감소시키고 발전소 건설비용 2282억원을 줄일 수 있다. 쓰레기 소각장, 산업단지의 폐열 활용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아직 지역냉방이 갈 길은 멀다. 2014년 에너지관리공단의 '전력효율향상사업 총괄사업 수행계획서'에 따르면 하계 냉방부하는 하계 최대전력량의 25% 수준이다. 이중 지역 냉방은 0.9%로 미미하다.

보급 활성화가 미진한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 측면에 있다. 초기 투자비가 과다하기 때문이다. 보조금 지원 전을 기준으로 설치비는 지역 냉방이 전기 냉방보다 24%, 가스 냉방보다 18% 높다. 보조금 지원시에도 지역냉방이 가스 냉방보다 20% 높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원냉방 보조금 총량을 확대하고 지원단가가 상향돼야 한다. 공단은 지역냉방 보조금이 연차적으로 확대돼 2013년 20억원부터 2016년 160억원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냉방설비의 성능계수, 즉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타 냉방방식에 비해 낮다는 점도 지적됐다. 동일한 냉방 성능을 내기 위해서는 전기 냉방의 7배, 가스 냉방의 1.7배 열량이 필요하다. 이때문에 성능이 낮은 설비를 시장에서 퇴출시키고 고효율 인증 제품 보급을 유도해 지역 냉방 설비의 고효율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공공주택 지역냉방 기술개발과 보급 추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현재 전력대체냉방의 효과에 대한 분석과 지역냉방시장 확대 방안연구 용역이 추진되고 있다.

흡수식 냉동기의 경우 단기적으로는 기술적, 주민 만족도 등을 분석해 신규 공동주택 보급이 추진된다. 중장기적으로는 신규 공동주택 건설과 연계해 개별 제습냉방기가 보급된다.

특히 한난은 세종시에 신규 건설되는 공동주택 약 4만세대에 제습냉방 보급을 추진 협의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