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MS 시장 … 먹을건 없는데 ‘공급과잉’
BEMS 시장 … 먹을건 없는데 ‘공급과잉’
  • 이소연 기자
  • 승인 2014.08.21 19: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장친화적 제품’으로 파이 키워야
계측기 보조금으로 투자 유인 필요

미국 네비건트리서치가 지난해 7월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BEMS 세계시장 규모는 2012년 2조1000억원에서 2020년 6조7000억 수준으로 매년 16%씩 급성장할 전망이다.

초기 단계를 지나 시장 확대 문턱에 선 국내 BEMS(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분야 활성화 과제는 무엇일까.

BEMS 시장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내년까지 완성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국토교통부는 지난 4일 세계 최초로 BEMS 한국산업표준(KS)안을 제정·고시했다. 이번에 제정된 표준안 제1부는 BEMS의 기본개념·기능·데이터 처리절차 등에 대한 정의를 내려 기초를 만들었다.

국토부는 진행 중인 관련 용역 결과가 올해 말까지 나오는 대로 공청회, 기술심의위원회 등을 거쳐 ▲건물에너지 절감효과 평가 ▲대상설비 및 관제점 명명 ▲시스템 구성체계 ▲운영체계 및 상호운용성 등을 담은 표준안 제2~5부를 제정· 공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국내 BEMS 시장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눈에 띄는 변화는 수요보다 공급에서 먼저 나타나고 있다. 전문 중소기업 중심이었던 시장에 최근 LG전자, SK텔레콤, 한화S&C 등 대기업이 가세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시장이 아직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대기업과 같은 공급자가 먼저 늘어나 기대보다는 우려가 먼저 나오고 있다. 

최근 BEMS에 투자하고 있는 IDC 분야 한 벤처기업 관계자는 “시장은 적은데 플레이어는 점점 많아진다”며 “한마디로 먹을 것은 없는데 공급과잉”이라고 말했다.

기업의 관심이 이처럼 높은데도 불구하고 국내 BEMS 시장이 제대로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관련 업계는 공통적으로 소비자의 낮은 인식과 경제성 부족을 꼽는다. ‘사람’이 아닌 ‘소프트웨어’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BEMS는 소비자에겐 생소한 서비스인데다 고가의 설치비용에 부담을 느껴 실제 도입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게 현장의 목소리다.

BEMS의 구조가 복잡하다보니 설명만으로는 경제적 효과에 대해 소비자를 설득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에 대한 요구가 나오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BEMS 시범사업을 기업에 분배하고, 기업간의 경쟁을 유도해 자생적으로 시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활성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시장친화적인 상품, 즉 저렴하면서 유지보수가 편한 제품을 기업이 생산해야 소비자의 투자로 이어진다는 주장이다.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줄이려면 보조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BEMS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계측기를 보조금으로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BEMS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일본의 경우 2002년부터 BEMS 도입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도입 비용의 3분의 1 이내, 최대 5억원까지 보조하고 도입 후 3년간 에너지절약 사항 보고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는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내년에 관련 예산이 책정될 지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창식 에너지관리공단 부장은 “올해 BEMS 보조금 사업은 없다”면서도 “확실히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국토부와 내년 BEMS 설치 지원사업을 도입하려고 추진 중이며 예산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