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너지, 분산형 전원 핵심돼야
집단에너지, 분산형 전원 핵심돼야
  • 한국에너지
  • 승인 2013.11.29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리원전 1호기가 또다시 멈춰서며 동절기 전력수급에도 비상이 걸렸다. 정부가 원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규제정책 조정회의’를 신설하는 등 다각도의 대책을 마련했지만 원전과 화력발전, 두 기저부하에 전력생산을 의지하고 있는 상항에서 계속되는 원전의 정지에 마땅한 대비책이 없는 형국이다.

우리의 전력설비가 강원·서남해안·전라·영남권에 집중돼 있는 반면, 최대 소비처인 수도권의 설비비중은 20%를 간신히 넘어서는 수준이라는 점도 문제다. 수요처와 공급처가 멀어지니 당연히 송전의 어려움도 가중되고, 발전소 및 송전설비 입지를 둘러싼 시회적 갈등도 커져만 간다.

결국 계속되는 전력수급 불안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고 송전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길은 수도권에 설치가 손쉬운 분산형 전원을 확대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권고안에서도 분산형 전원활성화를 다루기도 했다.

이러한 차원에서 열병합발전을 이용해 에너지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역난방, 산업용열병합 등 집단에너지가 분산형 전원의 최우선이 돼야한다. 그동안 집단에너지를 이용한 분산형 전원 확대는 집중돼 있는 기저부하에 비해 생산단가가 높은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에너지이용효율을 높여 얻을 수 있는 이산화탄소 감소효과와 송배전망 건설 회피비용을 감안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을 갖췄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이제는 집단에너지를 분산형 전원으로써 본격적으로 확대해야한다.

집단에너지를 통해 분산형 전원을 확대한다면 청정연료인 LNG사용을 확대시켜 국가 에너지믹스에서의 유연성도 커질 것이다. 또 신재생에너지 적용도 상대적으로 손쉬울 뿐 아니라 폐열 등 미활용에너지 이용 확대에도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행스럽게 일련의 전력위기를 겪으면서 정부내에서도 집단에너지를 단순히 열 공급 사업에서 분산형 전원의 대안으로 보는 인식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다만 현재의 에너지사업구조상 낮은 전력요금과 경쟁하기 위해서 정책적인 배려는 반드시 함께 돼야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