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S 산업화의 전제조건
CCS 산업화의 전제조건
  • 한국에너지
  • 승인 2012.09.03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래 에너지기술의 총아로 각광받고 있는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의 사업성을 논의하는 자리가 지난달 30일 열려 관심을 끌었다. 이날 열린 ‘CCS 글로벌 심포지엄’은 CCS가 단순히 온실가스 감축 수단을 넘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는 단계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아무리 훌륭한 기술이라고 할지라도 사업성이 없다면 결국 사라지게 된다는 점에서 CCS가 산업화 단계로 발전해야 한다는 데 이론은 없다. 하지만 산업화로 가기 위해서는 어떤 전제가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정부와 민간업계의 온도차가 존재하고 있는 듯하다.  

정부는 CCS를 녹색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 2010년 ‘국가 CCS 종합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기술개발과 실증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정부는 CCS가 에너지사용에 상당한 비용을 유발한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 CCS가 더 이상 비용 유발 대상이 아니라 이에 대한 투자가 이익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면서 CCS 관련시장이 급속한 성장을 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정부의 이런 얘기는 틀리지 않다. 하지만 기업들은 CCS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금보다도 더 확고한 정책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정부가 지금은 CCS를 육성하겠다고 말하고 있으나 나중에 가서 언제 그랬냐는 식으로 돼서는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물론 지금도 정부는 CCS 육성 의지를 거듭 밝히고 있고 민간기업의 이런 우려에 대해 너무 민감한 것 아니냐는 불만도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기업의 이런 입장을 이해해야 한다. 기업으로서는 투자리스크를 생각 안 할 수 없고 특히 CCS 같은 장기적 투자에 대해 조심할 수밖에 없다. CCS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기업의 투자가 필수적이다. 그렇다면 기업이 원하는 조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지난 10여년간 R&D에만 머물러 있던 CCS의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기 위해서는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정책의지를 기업에게 보여줘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