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의 정치적 접근을 경계한다
원전의 정치적 접근을 경계한다
  • 한국에너지
  • 승인 2012.08.27 11: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전의 안전성 문제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신월성 1호기가 제어봉 제어계통 고장으로 발전이 정지됐고 우원식 민주당 의원이 고리1호기 수명연장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원자력업계는 바람 잘 날 없는 한 해를 보내고 있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뭐라고 해도 최근 원전을 둘러싼 논란은 원전산업계의 전적인 책임이다. 철저한 안전관리를 수행하지 못했고 각종 비리로 신뢰를 스스로 떨어뜨렸기 때문이다. 안전 없이는 원전의 미래를 보장할 수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과오를 범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전이 너무 정치적으로 흐르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원전산업이 기본적으로 정치·사회적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일정부분 정치적 접근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모르는 것은 아니나 과도하게 치우칠 경우 본질을 흐릴 수 있기 때문이다.

원전사고에 대해 안전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당연하나 과학적 접근은 접어두고 무작정 정치적으로 몰아가서는 안된다. 그럴 경우 원전산업 전체에 대한 시각이 왜곡될 수 있다. 시각이 왜곡되면 정말로 문제가 무엇인지 보지 못하고 넘어가게 된다.

과거의 경험에 비춰봤을 때도 그렇다. 원전의 안전에 대한 문제 제기는 여러차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산업적 접근이 이뤄지지 않고 정치적 이벤트로 흐르다보니 안전 문제의 근원이 어디인지, 어떻게 해야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는지, 실질적인 대안을 만들기 보다는 소리만 요란했고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나기 일쑤였다. 정치적 접근은 결국 시간이 지나면 잊혀졌다.

원전에 대한 논란은 사건이 있을 때마다, 에너지산업 전체를 고민할 때도 이슈가 될 것이고 끊임없는 논쟁을 거듭할 것이다. 논쟁 자체는 의미가 있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원전을 어떻게 가져가는 것이 옳은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깊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고민은 철저하게 과학적이고 산업적인 인식에 기반을 둬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