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지역냉방 활성화 전략
공동주택 지역냉방 활성화 전략
  • 한태일 한국지역냉난방협회 상근부회장
  • 승인 2012.06.04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한태일 한국지역냉난방협회 상근부회장
뜨거운 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지역냉방 방식은 지난 20년전 1992년 6월 분당신도시 빌딩에 도입된 이후 작년 말까지 950여개 빌딩에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공동주택에 대한 지역냉방 공급은 5년전 안산도시개발(주)에서 230세대에 시범적으로 공급된 이후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에 있다. 반면에, 2009년 11월 지식경제부에서 발표한 ‘제3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공고에 따르면, 내년도까지 2만9천호 공동주택에 지역냉방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현실은 매우 참담한 실정에 있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에 지역냉방 공급이 부진한 것에 대해 그 원인과 대책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지역냉방 비용을 경감시키기 위해, 제습냉방기기의 조속한 국산화 및 보급 정책이 적극 시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분양단가는 정부 고시 ‘공동주택 표준공사비’에 따라 시행되므로, 동 표준공사비 내역에 ‘지역냉방기기’가격이 포함되지 못하였고, 현재의 지역냉방시스템은 중앙집중식이라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제습냉방방식은 공동주택 세대별로 냉방공급이 가능하며, 실내 점유하는 기기 면적도 매우 작으므로, 현재의 흡수식 냉동방식의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다. 제습냉방방식은 1개 기기에 제습 및 냉각 부문과 재생부문으로 구분되며 아파트 실내 습한 공기를 제습로터에 통과시켜 제습하고 증발 냉각기에서 물의 증발열을 이용 실내 공기를 냉각시켜 시원한 바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재생부에서는 제습기에 흡수된 수분제거를 위해 지역난방열 이용 수분을 제거시켜 계속하여 가동하게 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제습냉방시스템은 2010년부터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국책과제에 포함시켜 2013년 5월말까지 실증시험을 하고 있으므로 2014년 이후부터는 본격적으로 보급할 계획이며 공동주택 세대별 지역냉방공급이 가능하며, 전기 에어콘방식 대비 소음이 없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기 사용 에어컨 방식 대비 경제성을 갖출 수 있고 세대별 냉방이 가능한 제습냉방방식이 조속히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는, 지역냉방용 LNG요금이 신설되어야 한다. 이미 몇년전부터 LNG사용 가스냉방요금이 신설되어 1㎥당 480원 상당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열병합발전소의 여열을 활용하는 지역냉방의 LNG요금은 발전용 또는 열병합2용을 적용받아 1㎥당 840원 상당이므로, 가스냉방요금 대비 약 60% 고가이므로 지역냉방요금이 전기 및 가스냉방 대비 가격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특히, 하절기 정전사태 예방대비 전력거래소(KPX)에서 열병합발전소 가동을 긴급 지시하고 있어, 생산되는 여열을 버릴 수밖에 없는 사태까지 발생하고 있음에도 LNG요금은 지역냉방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셋째로, 건물용 지역냉방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기도 고효율 에너지기자재로 인증받도록 관련 규정이 개정되어야 한다.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인증하는 고효율 에너지 기자재 품목에 ‘지역냉방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기’는 현재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조속히 포함시켜야 될 것이다.
넷째로, 빌딩 건축물 에너지 절약 설계기준이 개정되어야 한다. 현재 빌딩 건축물 심의기준에 있는 ‘에너지 성능 지표’에는 지역냉방부문을 전기사용 빙축열과 같이 1점만을 배점하고 있으나, 지역냉방 열원은 에너지 효율이 높은 열병합발전소의 여열 또는 쓰레기 소각폐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5점 상당으로 배점을 높혀 지역냉방을 공급토록 활성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의 지역냉방보급은 제도측면에서도 많은 걸림돌을 갖고 있다. 그러나 ‘제습냉방방식’의 도입을 적극 추진한다면 공동주택의 지역냉방공급방식에 새로운 르네상스시대를 갖고 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