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굴의 집념으로 괄목성과 거뒀다
불굴의 집념으로 괄목성과 거뒀다
  • 변국영 기자
  • 승인 2012.05.29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5년 해외자원개발 역사 새로운 이정표 만들어
자주개발 획기적 성장 기술·인력 등 지원 강화

▲ 우리나라는 짧은 해외 석유·자원개발 역사와 일천한 경험 그리고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해외자원 개발에 땀 흘리고 있는 SK 직원>
우리나라는 1970년대 두 차례 석유파동 이후 1981년 마두라 유전을 시작으로 해외 석유·자원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비록 짧은 역사와 일천한 경험 그리고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적지 않은 성과를 거뒀다. 미얀마 가스전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미얀마 가스전은 대우인터내셔날과 가스공사가 1970년대 미국 등 유수의 석유회사들이 실패한 가스전 사업을 지난 2000년부터 과감히 추진해 가채매장량 4.5Tcf(국내 4년치 가스도입량)를 발견한 것이다.
최근에는 해외 석유자원 개발이 보다 과감하고 혁신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석유공사 대형화 전략 등 공기업의 역할을 강화하는 한편 불확실성이 크고 장기간 소요되는 탐사 광구에서 생산광구 인수나 M&A 중심으로 전환해 자주개발률을 높이고 있다. 아프리카 등 미개척지역에 대한 자원외교도 빼놓을 수 없다. 이런 노력을 통해 35년 해외자원개발 역사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어가고 있다.

무엇보다 자주개발률이 획기적으로 향상됐다.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은 2007년 4.2%에서 지난해 13.7%로 3배 이상 높아졌다. 생산량도 4배나 증가했다. 공기업과 민간기업 모두 생산량이 크게 늘었고 특히 석유공사가 추진한 생산광구 인수 및 M&A가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석유공사는 미국 안코르, 영국 다나, 캐나다 하비스트, 페루의 사비아 페루, 카자흐스탄 Sumbe·Altius의 인수 및 M&A를 통해 15만6000b/d를 확보했다. 특히 최근 4년간 자주개발물량이 크게 늘었다는 점은 해외 석유자원 개발이 가속도를 내고 있다는 증거다.
6대 전략광물 역시 연간 생산액은 3배, 자주개발률은 2007년 18.5%에서 2011년 29.0%로 상승했다. 실수요기업이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자주개발물량이 늘어났다.

리튬과 희토류 등 희유금속은 2007년 6.1%에서 2011년 12%로 약 두 배로 증가했는데 당초 2012년 목표 12%를 조기 달성하는 성과를 올렸다. 2차 전지의 원료인 리튬 확보를 위해 칠레와 아르헨티나 리튬 광산에 진출해 2014년부터 칠레 4만톤, 아르헨티나 1만2000톤 생산을 개시로 국내수요의 약 5배 물량을 확보했다. 중국과 남아공에서는 희토류 광산에 진출함으로써 올해부터 희토자석 1500톤 확보가 가능해졌다. 탐사·개발을 거쳐 2015년부터는 국내 수요의 2배에 달하는 6000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프리카와 비전통 유가스전, 그리고 북극권 등 프런티어 지역에 진출했다는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아프리카 모잠비크에서는 초대형 가스전을 발견하는 성과를 냈다. 동아프리카 모잠비크에서 현재까지 발견된 자원량만 47Tcf(약 10억6000만톤)에서 52Tcf(약 11억7000만톤) 수준에 달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에 발견된 가스전 중 최대 규모이며 연말까지 총 5개 탐사정을 추가로 시추할 예정이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비전통 유·가스전 분야에서 입지를 다졌다. 북미 지역 자산 인수를 통해 지난해 일일 1만6000배럴의 생산물량을 확보했다. 미국 이글포드 자산을 인수해 셰일오일 개발 노하우를 축적한 것이다. 가장 유망한 치밀·셰일가스 생산지역인 캐나다의 웨스트컷뱅크에도 진출했다.
북극권 자원개발에 최초로 진출하는 성과도 거뒀다. 지난해 1월 캐나다 우미악 광구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우리나라 자원개발의 시야를 극지방까지 확대했다. 기술력과 노하우가 필요한 북극권에 진출해 광구 개발과 파이프라인 운영 노하우 습득 후 그린랜드 등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러한 성과는 공기업의 자원개발 역량이 강화됐다는 증거로 풀이되고 있다. 석유공사는 대형화를 통해 세계 70위권이라는 최소한의 규모 경쟁력을 확보했다. 전략지역별 기업인수를 통해 기술력과 노하우를 확충하기도 했다.

가스공사는 이라크 진출을 계기로 자원개발의 한 축으로 성장했다. 기존 하류 부문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상·하류 수직일관형 가스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광물자원공사는 자원개발 기능으로 개편 후 특화광종 거점화를 추진하고 있다. 캐나다 동광개발기업 인수 등을 통해 미주지역 동벨트를 구축한 것이다. 호주에서는 스프링베일 등 13개 유연탄 개발 사업, 아프리카에서는 암바토비 니켈 개발 등 희유금속 개발 사업으로 거점화를 달성했다.
인력, 기술, 금융 등 자원개발 인프라 강화는 해외사업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특성화 대학 연간 400명, 아카데미 연간 180명 등 전문인력을 양성했다. IMF위기 이후 인력양성 체계가 붕괴된 상황에서 특성화 대학 제도를 도입해 1000여명의 인력을 키워냈다.

탐사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R&D에 대한 투자 규모도 2배로 늘렸다. 현재 메이저 기업의 탐사성공률은 20∼30%, 독립계 석유기업은 15∼20%이나 국내 기업들은 10∼15% 수준에 불과하다. 인력, 기술, 노하우가 부족한 상황에서 틈새시장 중심으로 진출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국내 자원개발 기술력을 높이고 인력양성 등을 위한 R&D 지원을 2배 이상 확대했다. 기존의 단기 R&D 중심에서 중장기 대형 R&D를 추진하고 있다.
자원개발 펀드는 2007년 이전에 2개에 3300억원에 불과하던 것이 연초에는 9개 2만4900억원으로 7배 이상 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