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전산업에 어떤 영향 줬나
후쿠시마 대책 ‘적극 반영’
국내 원전산업에 어떤 영향 줬나
후쿠시마 대책 ‘적극 반영’
  • 최덕환 기자
  • 승인 2012.03.12 13: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6개 장단기 대책… 건설원전까지 적용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직후 지난해 3월부터 한수원은 자체 안전점검과 정부 주관의 국내 원자력 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일단 안전점검을 바탕으로 한수원은 총 50개의 장단기 개선대책을 발굴했다. 이중 도출된 46개 개선대책을 가동원전뿐 아니라 건설원전까지 확대·적용하기로 결정했고 항목별 세부조치계획을 수립중이다.
개선대책은 지난해 모두 착수했으며 2015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단계적으로 약 1조 1000억원의 재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에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반영하고 있는 사항은 ▲지진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확보 ▲해일에 의한 구조물 안전성 확보 ▲침수 발생시 전력·냉각계통 기능 확보 ▲중대사고 대응 ▲방사선 비상 대응 ▲장기 가동원전 안전성 확보 등 6개 사안이다.
먼저 지진에 대비해 한수원은 국내원전은 지진 발생시에도 방사성 물질이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일반건물이나 타 산업설비에 비해 내진설계를 엄격히 수행하고 있다. 또 지진감시계통에서 관측된 지반가속도 크기에 따라 단계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절차를 마련해 놓았다.
해일에 대한 대책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속대책에서 가장 큰 특징이다. 우리나라 원전은 최고 해수위에서도 침수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왔지만 한수원은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대형해일 등을 전제로 개선대책을 내놓았다.

일단 해일에 대한 안전 여유고가 상대적으로 낮은 고리원전의 해안방벽을 타 원전의 부지높이 수준(10m)으로 증축할 예정이다. 또 원전 내 주요구조물은 내진설계된 방수문으로 교체하고, 환기구 등 관통부의 침수 방호조치를 2014년까지 전 원전을 대상으로 적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내년 12월까지 해수위에 대한 연구용역을 통해 취수펌프 취수 및 흡입구의 위치 조정, 수중보 설치를 통한 최저수위 유지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침수 피해로 인한 전력·냉각계통 기능 중지 역시 예방책을 마련했다. 먼저 다양한 비상디젤발전기의 냉각방식을 보유함으로서 비상전력 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높였다. 비상발전기는 수냉식, 대체비상발전기를 공냉식으로 구비해놓고 최종열제거원 상실시 다양한 방식을 통해 열을 제거할 수 있게 됐다.

이동형 발전차량도 도입할 계획이다. 월성본부는 11월, 고리본부는 12월까지 도입하며 다른 원전 역시 2014년까지 발전차량을 완비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사용후연료저장조 냉각기능 완전상실에 대비해 핵연료건물 내부 소화전을 이용한 충수 방법, 소방차를 이용한 충수 방법을 절차서에 반영했다.
원전사고 이후 신속한 대응 역시 마련했다. 일단 한수원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격납건물 수소폭발사고를 반영해 전원이 없어도 수소 제거가 가능한 무전원수소제거기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고리1호기, 신고리1호기, 월성1호기에는 이미 설치를 마쳤으며 2013년까지 미설치된 전 원전에 대해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또  핵연료 용융사고와 같은 중대사고시 방사성물질을 포함해 증기, 수소 및 기타 가스를 여과해 대기로 배기해주는 격납건물 배기 또는 감압설비를 2015년까지 전원전에 설치하기로 했다.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방재대책도 보강했다. 방사선방호약품인 요오드화칼륨(KI)를 125만정에서 500만정 수준으로 확충하고 지자체, 정부와 함께 주민보호용 마스크 등 방호장비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또 무선통신을 통한 방사선감시 결과 전송이 가능한 이동형 환경방사선 감시기 19대를 올해 도입해 운영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