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원전사고 1년… 무엇을 남겼나
‘안전’만이 원전 생명력 담보 세계가 공감
후쿠시마 원전사고 1년… 무엇을 남겼나
‘안전’만이 원전 생명력 담보 세계가 공감
  • 최덕환 기자
  • 승인 2012.03.12 13: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사고 충격 진행 중 4월 모든 원전운영 중단
세계 각국 원전 폐로 않고 강력한 안전기준 모색

지난해 3월 11일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은 원전 축소의 길을 걷고 있다. 현재 후쿠시마 제 1원전 4기는 폐로 상태에 있다. 일본은 지진발생시 54기의 운영 원전 중 36기를 운전 중이었으나 지진으로 인해 11기의 원전운전을 자동정지했다. 또 지난해 5월 일본 총리는 하마오카 원전 4,5호기에 대해 지진 및 쓰나미 중장기대책이 완료될 때까지 2∼3년간 운전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원전운전은 지난해 말 6기가 운영 중인 것에서 지난 1월에 3기, 2월에 1기를 추가 정지시키면서 현재는 2기의 원전만이 가동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4월에는 모든 원전운영을 중단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세계 각국은 후쿠시마 사고 이후 원자력 안전의 중요성이 전세계적으로 강조되면서 독일 등 원전을 포기하는 일부 국가도 있지만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 세계 원전 산업계를 주도하는 국가들은 기존의 원전 정책을 계획대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필요와 원전안전성 강화에 힘쓰겠다는 설득에도 원자력이 가진 강력한 파괴력 때문에 원전정책을 그대로 추진하는데는 상당한 장애를 겪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후쿠시마 사고이후 도쿄전력은 지난해 4월 17일에 복구 로드맵을 발표, 지난해 12월에 2단계까지 복구작업을 끝마쳤다. 1단계에서는 원자로 내 질소와 냉각수를 주입하는 긴급조치를 취했고 2단계에서는 핵연료를 냉각해 방사선 누설을 차단했다.

1단계에는 원자로와 사용후연료저장조를 순환 냉각하고 질소를 공급해 원자로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작업을 시행됐다. 이후 방사성 물질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1호기 원자로건물에 덮개를 설치했으며 여진에 대비해 4호기 내 사용후연료저장조 바닥에 구조물을 설치했다. 1단계 막바지에는 파편 등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등 환경 개선 작업을 수행했다.
2단계에서 도쿄전력은 원자로를 냉온정지사태로 만드는데 힘썼다. 한수원은 이것이 국내 원전의 상온정지 운전모드와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상온정지는 원자로냉각재계통의 온도가 약 100℃ 미만을 유지, 원전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의미한다.

현재 후쿠시마 원전 원자로하부 온도지시 상태는 70℃ 이하다. 일본 정부는 각종 계측값을 바탕으로 원자로 내부의 냉각수 온도를 100℃ 미만으로 유지하는데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수원은 복구작업 2단계 이후 도쿄전력이 냉온정지상태에서 안정적인 장기 냉각에 도달한 후 원전폐로단계를 진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직까지 원전폐로 단계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은 없으나 원전 안정화 이후 운영사 및 일본 규제 당국에서 수립할 것이라고 전했다.
다만 원전폐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원자로 및 격납용기 내에 용융 핵연료를 제거하는 계획이 수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일본 원전이 점차 축소 혹은 폐지의 길로 갈 것은 자명하다고 전했다.

일본정부는 중장기 이행계획에 따라 향후 2년 내 사용후연료저장조의 연료를 제거하고 10년 내에 원자로의 용융된 핵연료 제거한 후, 30~40년내 폐로단계를 밟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 규제당국(NISA)은 원전에 대해 3차례의 안전 점검 조치를 부과하고 있다. 1차로 지난해 5월 침수에 대한 비상 대응 설비를 점검하고 6월에는 2단계로 중대사고 대응 절차를 보완했다. 3단계는 7월부터 현재까지 전 원전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수행 중이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 세계 각국은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원전 안전성 강화를 위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원전을 폐로하지는 못하니 강력한 안전기준을 통해 사고를 방지하겠다는 방침이다.
EU는 27개 회원국내 143개 원자로에 대해 극한 상황을 고려한 원전 안전성 검사를 실시 중 이다. 회원국별로 지난해 12월 보고서 작성을 완료해 제출했고 올해 6월까지 다자간 상호검토를 예정 중이다.

미국은 지난해 10월 설계기준 초과사고에 대비해 12개의 개선사항을 도출했다. 이 중 ‘지진과 홍수 위험도 재평가’, ‘발전소 정전 규제조치’, ‘비상운전절차서 및 중대사고에 대한 관리지침서, 완화지침서’ 등 3개 사항에 대해서는 즉시 강화·보완하라고 권고했다.
프랑스는 올해 1월 79개 원전의 안전점검 결과에 따라 극한상황에 견딜 수 있는 견고함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보강해 나갈 계획이다. 계획에는 ‘벙커화된 위기관리센터’, ‘비상대처용 디젤발전기’, ‘신속대응반 구성’ 등이 포함돼 있다.
원자력 국제기구인 IAEA도 원자력 안전사고 대응체제의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9월 ‘IAEA Action Plan’를 채택했다. 이는 IAEA의 안전기준을 강화하기 위해 취약도 평가, IAEA 검토서비스 강화, 원전 후발국 인프라구축 지원 등 12개 항목으로 이뤄져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