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의 힘
신재생에너지 ‘클러스터’의 힘
  • 남수정 기자
  • 승인 2010.08.16 11: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독일의 튀링겐-작센-작섹안할트 등 3개 주를 중심으로 한 ‘솔라밸리’. 30여 태양광 기업과 12개 연구소, 4개 대학 등이 ‘클러스터’를 이루고 있어 협력 네트워크 구축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독일 태양광 산업을 세계적인 위치에 올려놓은 밑그림이 됐다.

태양광 업계 전설이 된 태양전지 제조업체 '큐셀(Q-Cell)'의 성공신화를 탄생시킨 곳이기도 하다. 세계적인 태양광 장비업체인 로쓰앤라우(Roth&Rau), 엔지니어링 업체 시크프로세싱(SicProcessing)과 알로텍(ALO Tec.) 등도 이 곳 기업이다.

이미 전통적인 경쟁력을 갖춘 광학, 화학, 정밀기기 산업 기술력과 녹색산업에 일찌감치 투자한 독일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국민적 공감대가 뒷받침됐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특히 ‘클러스터’는 기업과 연구소, 대학이 파트너십을 맺고 긴밀한 역할분담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었던 ‘장’이었다.
한국의 사정은 어떤가.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발표 이후 거의 모든 지방정부가 태양광·풍력·연료전지 클러스터 등 경쟁적으로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마다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큰소리치고 있지만 초보적인 수준이거나 중앙정부의 외면으로 중도에 중단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중앙정부 역시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통해 지원에 나서고 있지만 ‘예산 나눠주기’식 정책에 그치고 있다.
이같은 클러스터를 만들어낼 ‘전문인력’도 부족하다. 에너지관리공단의 지역에너지기후대책센터가 있지만 신재생에너지 담당자는 단 1명 뿐이다. 보급사업 관리하기에도 모자란다.
큰 틀에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계획을 조율하고 이끌어갈 컨트롤 타워 역할을 제대로 하는 기관이 없다는 사실은 심각하다. 에너지효율이나 기후변화, 관련 소재·부품 산업과의 연계, 융·복합 트렌드에 대비한 ‘씽크 탱크’ 기능도 절실하다.

소수의 메이저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에서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기업과 정부가 지역거점 기능이 가능한 ‘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