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석유매장 가능성 상당히 높다
북한 석유매장 가능성 상당히 높다
  • 한국에너지신문
  • 승인 2000.08.2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화해협력시대의 중요한 전환기를 맞고 있는 시점에서 에너지에 관한 남북한의 관심은 지대해져온 것이 사실이다.
 지난 7일 에너지경제연구원에서는 북한의 석유개발 현황과 남북협력의 가능성에 대하여 자료를 내놓았다.
 북한 석유개발의 진전도와 석유 부존에 관한 국내외의 논의는 어떠한 지 개발상황과 정책을 중심으로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남북한의 협력가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 원유 매장 가능성 ■
남한과 마찬가지로 에너지에 대한 북한의 관심은 어느 때보다 국가차원에서 진지해져 왔다. 1965년 북한이 석유 개발을 위한 전담조직을 출범시켜 지질학적 탐사활동을 개시한 이래 북한내에 과연 석유의 부존에 대해 국내에서도 논의가 많았다. 상당량의 석유부존이 잠재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국내에서는 남북한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실정에 이르렀다.
북한에는 어느 정도인지는 알 수 없으나 상당량의 원유부존량이 존재되어 있는 것으로 국내외에 알려져 왔다.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에너지 정보처(EIA)는 북한의 원유 매장 가능성에 대해 “희소한 편이나 함흥이나 신포를 포함한 여러 지역에 상업적 규모의 탄화수소 발견으로 장차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개발이 가능한 지형으로 여러가지로 검토한 결과 암반크기와 석유 축적구조, 석유 함유층, 석유이동을 막는 상부 암반 등 4가지 요소를 서한만 지역은 갖추고 있다고 전문가는 내다보고 있다.
북한은 그 동안 자력갱생의 원칙에 입각하여 자립적 민족경제를 건설한다는 정책기조를 유지하여 왔다. 북한의 에너지산업 정책 역시 이러한 자력갱생에 바탕을 두고 추진되어 왔다.
 즉, 수입연료나 원료가 국내산보다 효율이 우수하다 해도 가급적 국내산을 생산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칙이 1993년 4월에 제정된 지하자원법의 시행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동 법에서는 매장된 지하자원은 품질이나 경제성에 관계없이 모두 캐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하여 북한은 그 동안 90%이상의 에너지 자립도를 유지해 올 수 있었으나 석탄과 수력에만 과도하게 의존하는 에너지 수급구조를 갖게 되었고, 결국 북한산업 전체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북한의 유전개발사업도 이와 같은 자력갱생의 정책기조로부터 시작되었다.
북한의 원유개발은 크게 세 개의 축을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다. 그 첫째 축은 1993년 4월에 제정된 "지하자원법" 이다. 동 법 제8조는 석유자원의 개발, 이용을 위해 외국과의 교환과 협력을 강조하고 있어 외국자본과의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토록 하고 있다.
 그동안 북한 국내 기술과 러시아의 협력에 의존해오던 폐쇄적인 석유자원 개발체제에 서방국가와의 협력이 가능하도록 개방적인 개발체제로 전환함으로써 유전개발에 획기적인 진전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 축으로 이러한 법체계적 정비와 함께 제도적인 정비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즉, 1993년 7월에 석유자원 개발을 전담하는 정부조직으로 석유산업부가 설립된 것이다.
이는 1978년에 설립되어 석유개발을 관장해 오던 연료탐사국을 확대 개편한 것으로 본격적인 석유개발 정책의 추진을 국내외에 천명함으로써 보다 활발한 외국자본의 유입을 도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세 번째 축은 북한 당국의 석유개발에 대한 강력한 정책의지 표명이다.
이러한 법, 제도의 정비와 당국의 정책의지 표명에 의해 북한의 석유개발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며, 1997년 6월 남포 앞 바다에서 450배럴의 석유의 최초로 생산함으로써 본격적으로 석유개발을 위한 서방기업과의 합작이 추진되기 시작한다. 1997년 9월 23일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국내 석유개발의 조속한 성과실현을 촉구함으로써 북한의 석유개발은 다시 한번의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북한의 석유자원 개발 역사는 196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록상으로는 1965년 8월에 연료자원 연구조정국을 신설하여 최초로 석유자원 개발을 위한 지질학적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8년 9월에는 석유조사소가 평양근교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6월부터 서해안 대륙붕 지역에 대한 시추작업이 개시되었다. 1978년 7월에는 기존의 석유조사소를 확대하여 연료탐사국이 설립되며, 14,000톤 급 시추선인 유성호를 도입하여 서해안 지역의 시추작업에 투입한다. 1990년에는 구소련과 합동으로 원산 지역의 해안과 인근해역에 대한 지질학적 조사를 벌이고, 이어 기타 동해안 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30여 년에 걸친 지질학적 조사와 시추조사를 기초로 북한은 1993년부터 본격적인 석유자원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동년 4월에 지하자원법을 제정하고 동년 7월에는 기존의 연료탐사국을 확대하여 석유산업부를 설립하게 되며, 1994년 4월에 열린 제7차 최고인민회의에서는 석유개발에 대한 북한 당국의 강력한 의지를 천명하게 된다.
그 이후 몇몇 서방기업들이 북한지역 석유개발사업에 참여하게 되었고, 북한당국은 보다 활발한 서방기업의 진출을 유도하기 위하여 1997년 10월에는 일본에서 투자설명회를 개최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왔다.
1998년 현재, 두 개의 석유개발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다. 그 하나는 북한 자체기술로 진행되고 있는 남포 앞 바다와 평안남도 안주지역에 대한 시험시추 프로젝트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회사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동해안과 서해안 지역에 대한 기초조사와 탐사 프로젝트이다. 현재 호주, 스웨덴, 영국 등의 기업들이 북한 당국과 탐사계약을 맺고 탐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스웨덴 Taurus Petroleum사가 서해의 두 개 블록에 해한 탐사계약을 맺고 있으며 영국의 Britains Soco International사도 서해의 한 개 블록에 대한 탐사계약을 맺고 있다. Taurus Petroleum사는 1997년 6월에 시행한 초기 지진탐사에서 원유부존이 가능한 지질학적 구조를 확인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두 회사는 각각 한국의 석유개발공사와 현대를 상대로 이들 지역의 합작개발을 위한 컨소시엄 구성 가능성에 관한 협의를 가진 바 있다. 호주의 Beach Petroleum사도 동해안 지역의 한 블록에 대한 계약을 맺고 있다.

 ■ 남북 유전개발 협력방안 ■
1997년 10월 일본 동경에서 개최된 북한 유전설명회에서 북한 석유산업부 장관 김희용은 “북한 개국 50주년 기념일인 1998년 9월 8일까지 모든 탐사활동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굴착활동으로 전환한다. ■
 주로 남포와 안주 지역의 유망지역에 시추유정을 굴착하여 원유 매장량을 측정, 확인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급격한 경제침체로 인해 그러한 계획은 상당부분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은 서방 석유개발회사들과의 합작을 통한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아직 이렇다할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서방기업들이 북한의 석유개발에 소극적인 이유는 북한당국과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아직 경제성 있는 규모의 유전이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북한의 불안한 정치, 경제적 상황, 그리고 투자와 관련된 제반 제도적 준비부족으로 인한 신뢰부족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간 북한에 진출한 서방회사가 남한 기업에 북한 석유자원의 합작개발을 위한 컨소시엄 결성으로 제안했던 바 있었고 1998년 10월 27일 현대그룹 정주영 명예회장이 두 번째 방북길에 오르면서 북한 원유 얘기를 꺼내고, 돌아와서는 북한당국과 원유개발에 관해 상당한 논의가 있었다고 발표함으로써 국내에서도 북한의 석유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바 있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은 북한의 석유자원에 대해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일례로 북한 당국이 1997년 10월 동경의 유전설명회에서 발표한 50억에서 400억 배럴이 있다는 식의 주장은 매우 과장되어있어 신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50억 배럴이면 동남아 최대의 원유 매장량을 자랑하는 인도네시아에 버금가는 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경제협력의 일환으로 북한 석유자원의 공동개발사업이 실현가능한 협력사업의 대안으로 새로이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에는 일단 북한에 원유가 부존하고 있다는 주장에 상당부분 신빙성이 있고 원유개발이 북한경제의 회생에 획기적인 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한의 높은 석유의존도화 향후 북한의 경제회복에 따른 에너지수요 증가 등을 감안할 때, 북한 석유자원의 공동개발은 남북이 힘을 합쳐 추진해 볼만한 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북한 석유개발 일지
▲ 1965년 8월, 연료자원연구조정국을 신설하여 석유자원 개발을 위한 지질학적 조사에 착수
▲ 1968년 10월, 석유조사소 설립
▲ 1977년 6월, 서해 대륙붕지역에서 시험시추 개시
▲ 1978년 7월, 연료탐사국 설립하고 시험시추선 유성호(14,000톤급)를 도입하여 서한만에 투입
▲ 1990년, 구소련과 원산만 해안지역 및 인근해역, 기타 동해안 지역에 대한 공동 지질조사 실시
▲ 1993년, 과학기술출판회사서 출판한 지질학지에 북한지역 원유부존 가능성을 강조하는 두편 논문 발표
▲ 1993년 4월, 지하자원법 제정
▲ 1993년 7월, 연료탐사국을 석유산업부로 승격
▲ 1994년 4월, 제7차 최고인민회의, 석유개발 추진 정책의지 표명
▲ 1997년 6월, 남포 앞바다에서 450배럴의 원유 추출
▲ 1997년 9월 23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석유개발의 조속한 성과실현 촉구
▲ 1997년 10월, 일본 동경에서 북한 유전개발 투자설명회 개최
▲ 1998년 8월, 안주 지역 시추작업 개시


〈자료제공:에너지경제연구원
/정리 김동찬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