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수급, ‘안정’과 ‘안전’ 동시에 챙긴다
전력수급, ‘안정’과 ‘안전’ 동시에 챙긴다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9.09.02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자부, LNG 등 환경급전 본격화 통해 석탄발전 감축

[한국에너지신문] 정부가 수급 안정과 안전‧환경 측면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전력수급 방안을 찾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 국회 기후변화포럼(대표의원 홍일표 한정애)이 주최한 ‘제9차 전력수급계획, 준비상황과 과제는’이라는 제목의 토론회에서 윤요한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장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이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면서 과감한 석탄발전 감축을 요구받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과장은 “미세먼지와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해 석탄의 액화천연가스(LNG) 대체 규모와 일정을 제시하고, 환경급전 본격화를 통해 석탄발전을 감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재생에너지 변동성과 간헐성 대응을 위해 백업 설비 규모를 산정하고, 관제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계통 보완 방안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석광훈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온실가스 저감 정책에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며 “특히 제조업이나 수송 부문보다는 발전 부문의 저감 노력이 비용효과 면에서 우수하므로, 석탄화력을 화석연료 가운데서도 저탄소 저배출 연료로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 안보는 자원‧연료의 안보에서 기술의 안보로 개념을 전환해야 한다”며 “산업 파급효과가 크고, 석탄화력을 효과적으로 대체하며, 태양광과 풍력 등의 약점을 보완하는 가스복합발전의 고효율화를 이후의 전력계획에서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원주 민간발전협회 국장은 “노후화력발전은 폐지하되 비상시 예비 자원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박 국장은 “신재생에너지 자원이 증가하면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한 장치를 따로 세울 것이 아니라, 노후화력을 예비로 두고 천연가스 복합발전으로 대체하되 민간 부문에서 이를 진입장벽으로 인식하지 않도록 조율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정순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전환정책연구본부장은 “제주도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이 2018년 발전량 기준으로 12.9%이므로 제주 사례를 토대로 구체적인 계통 안정화 대책 검토가 필요하다”며 “활성화 계획에 따라 보급이 확대될 수소연료전지는 경직성 전원이므로 계통 안정화 측면의 대응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정부는 2019년부터 2033년까지 적용될 9차 전력수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산자부는 이 날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준비상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전기사업법에 따라 2002년부터 2년 주기로 수립되고 있으며 9차 계획은 기존 8차 계획을 평가하고 현 상황에 맞게 계획을 변경하게 된다. 산자부는 지난 3월부터 전력정책심의회를 개최하며 9차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전문가 소위원회 논의를 거쳐 정부안을 마련한 뒤 국회에 보고하고 공청회를 가진 뒤 최종안을 확정한다. 이 과정에서 지난 6월 발표된 정부의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도 반영해야 한다. 신규 석탄발전소 건설 금지와 노후 석탄발전소 폐지 및 연료전환, 재생에너지·연료전지 등 수요지 인근 분산형 전원의 발전량 확대목표를 2040년까지 전체 발전량의 30%로 설정한 것 등이 주요 골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