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화재 “안전 기준·운영 부실 문제 크다”
ESS 화재 “안전 기준·운영 부실 문제 크다”
  • 조성구 기자
  • 승인 2019.06.17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관 합동 원인조사 결과 발표
일부 LG 배터리서 결함 발견
안전 인증·표준화 안돼 사고 키워
정부, 안전관리 강화 대책 발표
이승우 국표원장(왼쪽서 두 번째)이 지난 11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승우 국표원장(왼쪽서 두 번째)이 지난 11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의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너지신문] 최근 잇따라 발생한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도 있지만 안전 기준과 설치·운영 부실 문제가 더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체 성능이나 부품 인증 등의 기준이 없거나 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11일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 위원회’가 정부 세종청사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이 밝힌 화재원인은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 체계 미흡 등이다.

조사위에 따르면 일부 배터리 셀에서는 제조상 결함이 발견됐으나, 이를 적용한 실증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 산지나 해안가에 설치하거나, 결로와 먼지 등에 노출되고, 오결선 및 보관 부주의 등도 사고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터리 자체 결함보다는 안전 규제 부실이나 운영·관리 미흡이 화재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조사위는 ESS 성능 기준, 배터리 및 전력변환장치 등 주요 부품에 대한 인증 기준, 설치용량 제한 규정, 다중이용시설 설치 시 소방방화시설 지정 등 안전 대책을 더 보강하라고 주문했다.

조사위가 밝힌 제조상 결함은 LG화학 일부 배터리 셀에서 발견됐다. 시험실증 결과 배터리 자체 발화로 이어질 수 있는 셀 내부 단락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제조상의 결함에 더해 배터리 충방전 범위가 넓고 만충 상태가 지속되면 화재 발생 가능성은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정부가 배터리 업체를 위한 ‘면죄부’를 제공한다는 비판도 나왔다. 특히 제품의 자체 결함을 확인했으면서도 단순히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느냐는 지적이 나온 것이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ESS는 배터리 시스템에 과전압·과전류와 같은 전기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배터리 보호 체계인 랙 퓨즈가 이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절연 성능이 떨어진 직류 접촉기가 폭발하면서 화재가 났다.

배터리 셀 안전 인증절차가 있었다면 생산 공정상 셀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었고, 호환성을 위한 표준화가 이뤄졌다면 에너지관리시스템, 전력관리시스템, 배터리관리시스템과 시스템통합설비 등이 알맞게 결합돼 사고를 방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정부는 조사위의 의견을 받아들여 제조·설치·운영 단계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소방기준을 신설하는 내용의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배터리, PCS 등 구성품에 대한 안전인증인 KC인증을 강화하고, 부품 및 시스템 차원의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KS 표준도 제정한다.

옥내 설치 용량은 600㎾h로 제한해 옥외 별도 건물 설치를 유도하고 전기 충격 보호장치 설치를 의무화한다. 이상징후가 감지되면 ESS가 비상 정지할 수 있는 시스템도 보강해야 한다. 정기 점검을 늘리고 수시 특별 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ESS를 특정 소방대상물로 지정한다. 화재안전기준은 9월까지 제정된다.

한편 2017년 1.2GWh였던 국내 ESS 설비 규모는 지난해 4배나 성장한 4.7GWh로 늘었고, 금액도 같은 기간 3억 6000만 달러에서 12억 4500만 달러로 급증했다.

하지만 2017년 8월 전북 고창군의 한국전력 실증단지에서 화재가 발생한 이후 올해 5월까지 총 2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국 1500여개 사업장 중 700여개 사업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원인을 조사해 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