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업계 “ESS 화재 대책 아직도…안전 조치도 헛다리”
태양광 업계 “ESS 화재 대책 아직도…안전 조치도 헛다리”
  • 조성구 기자
  • 승인 2019.05.13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계 ESS에서 화재 발생 많은데
피크저감용 ESS에 가동중지 명령
정부, 6월 초 조사결과 발표키로

[한국에너지신문] 지난 2일 산자부는 ESS 화재 원인조사 및 안전관리 대책 추진현황과 계획을 발표했다.

하지만 이날 “ESS는 화재 발생 시 전소되는 특성이 있고 다수의 기업과 제품이 관련돼 있어 사고원인을 과학적이고 투명하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 것”이라며 정확한 조사 결과는 “6월 초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확실한 대책 발표를 미루는 사이 4일 다시 사고가 발생해 정부의 대책 마련이 더디다는 질책과 규제 대상도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현재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가 우려되는 다중이용시설 및 ESS가 별도로 설치된 건물이 없는 공장용 ESS에 가동 중단을 요청한 상황이다.

지난 3월에는 총 1490개 사업장 중 제조사의 자체 가동중단 조치로 765개 시설이 가동을 중단했고 4월 말에는 약 35%인 522개 시설이 멈춘 상태이다.

또 나머지 사업장에 대해서는 안전운전을 위한 충전율 하향을 권고했다. 이어 대부분의 사업장은 제소사별로 안전 강화 조치 후 다시 가동을 시작했다. 즉 이번 화재는 안전 진단과 일부 배터리 교체 후 재가동한 시설에서 다시 추가로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의 그간의 대책이 효과가 없었다는 지적이다.

정부의 규제 대상이 잘못됐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 ESS 화재 21건 중 16건이 재생에너지 연계 ESS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산자부는 다중이용시설의 피크저감용 ESS에 대해서만 규제를 강화해 왔다.

1월 공공기관 내 설치된 피크저감용 ESS에 대해 가동중지를 명령했고 이어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피크저감 ESS에 대한 가동 제한을 지속적으로 요청해 왔다. 2일 정부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신재생에너지 연계 ESS는 38개만 가동을 멈춘 채 740개 약 95%가 가동 중에 있었다.

피크저감용 ESS는 상대적으로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돼 관리인원이 많고 관련 기준도 잘 준수되는 경우가 많다. 이번 칠곡 화재는 연계 ESS에서 발생했고 자칫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충분한 위험이 있던 상황이었다.

정부는 지난 1월에는 전기 배터리 소방 등 분야별 전문가 19명으로 구성된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를 출범하고 조사를 진행 중이다. 조사위는 화재사고 현장조사·기업면담, 데이터 분석·검토 등을 위해 매주 1회 정기회의 및 수시회의와 워크숍 등 60여 차례 회의를 개최했다.

3월에는 조사·분석 내용과 시험실증 방안에 대한 ESS 화재사고 관련 업계(설계시공, 배터리, PCS 등) 의견 수렴을 위해 비공개 간담회도 개최했다.

2일 조사위는 사고현장 조사·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고를 유형화하고, 배터리 해체, 전기적 충격에 의한 고장 가능성 등 ESS 구성품과 설계·운영상의 문제점, 비정상적인 전기충격으로 인한 고장, 결로·먼지 등 운영환경 등 시스템에 대한 실증 시험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ESS 설치기준 및 KS기준, KC인증 등 안전기준 강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가동이 중단된 사업장에 대해서는 이달 초 ESS 전문가, 구조물·소방전문가, 업계 등으로 ‘ESS 안전관리위원회(가칭)’를 구성해 사업장별 특성에 따라 필요한 안전조치를 권고하고 권고 조치를 이행한 사업장은 재가동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또 ESS 산업이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사고 원인조사를 완료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육성방안도 발표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현재 업계의 반응은 냉랭한 상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