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톡톡(talk talk)]‘국내 유일’ 무연탄으로 돌리는 발전소
[에너지 톡톡(talk talk)]‘국내 유일’ 무연탄으로 돌리는 발전소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9.01.14 1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해화력, 연료 국산화·탄광 지역 경제 유지 ‘최후의 보루’

국산 무연탄 활용 지역 경제 활성화
서천, 가동 중지·영동, 연료 전환
올해 무연탄 소비량 40만톤으로↑
관련 예산 120억원 확보 ‘숨통’

동해화력발전소
동해화력발전소

[한국에너지신문] 연탄 가격이 오르고 기증량도 줄어들어 한겨울 에너지 빈곤층의 생활이 팍팍해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석탄 발전소 가운데, 연탄의 원료가 되는 무연탄을 연료로 가동되는 발전소가 있습니다. 그것도 국내에 모두 3개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 현재 유일하게 남아 있는 발전소가 바로 동해화력입니다.

유연탄 발전소는 환경 문제와 연료 전량 수입 등으로 에너지 업계에서는 퇴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무연탄 발전소는 경우가 조금 다릅니다. 무연탄은 아직 대부분 국내산입니다.

그래서 발전연료 국산화와 석탄 광산이 있는 지역의 경제에 도움이 됩니다. 국산 무연탄은 용도에 따라 서민들이 사용하는 연탄으로 사용되는 ‘민수용’, 그리고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발전용’으로 나뉩니다. 발전용은 민수용보다는 질이 약간 떨어집니다. 그래도 국내의 부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전기 생산에도 사용됐던 것입니다.

국내 무연탄 발전소는 당초 서천화력(1·2호기-1983년 건설)과 영동화력(1호기-1972, 2호기-1979) 그리고 동해화력(1·2호기-1999)이 있었습니다. 앞의 둘은 탄전 개발에도 기여하고, 늘어나는 전기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고 석탄만이 아니라 중유도 함께 때는 무연탄-중유 혼소발전소였습니다. 혼소비율은 중유가 10~30% 정도씩이었고요. 이 발전소들이 지어지던 시절은 석탄산업에는 최전성기였습니다.

동해화력발전소
동해화력발전소

하지만 동해화력은 경우가 조금 다릅니다. 1989년 석탄산업 합리화정책이 시행되는 전후로 국내 무연탄 소비는 계속해서 줄어들었고, 이는 현재진행형입니다. 그 자리를 대부분은 도시가스(LNG)가, 그리고 일부를 LP가스와 석유(등유)가 차지했습니다.

그렇게 자리를 내준 무연탄 소비처가 갑자기 사라지게 되면 탄광 지역의 경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정부는 부랴부랴 무연탄만 때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소를 짓게 됩니다. 그렇게 세워진 것이 동해화력입니다.

가장 최근인 20년 전에 지어진 발전소다 보니, 최첨단 기술인 순환유동층 보일러가 적용돼 있고, 무연탄을 100%로 활용할 수 있게 건설했습니다. 2004년 기준으로 120만 톤의 국내산 무연탄으로 전기를 생산했는데, 당시 유연탄 수입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3800만 달러 수준입니다.

앞에서도 이야기한 것처럼 강원도 내의 탄광지역 경기활성화 효과도 컸습니다. 청정연료 사용과 친환경 경영기법을 도입해 환경친화기업으로도 선정됐습니다.

이건 다 호시절의 이야기이고 상황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에너지 정책이 국산화나 지역 경제보다는 효율 위주로 돌아가다 보니, 최초의 무연탄발전소인 서천화력이 2017년 문을 닫게 됩니다. 영동화력은 이 시기 연료를 석탄에서 우드펠릿으로 전환했고, 그래서 국산 발전용 무연탄은 모두 동해화력의 차지가 됐습니다.

하지만 동해화력도 이미 2012년 40만 톤으로 국내산 무연탄 소비량을 줄여 놓고, 나머지를 수입산 무연탄과 유연탄으로 충당합니다. 국내산 소비량은 지난해에 23만 5000톤으로 또 줄어들어 탄광 지역으로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이 문제가 지난해 수면 위로 부상한 것은 동해화력에 지원될 2019년 예산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지난해 7억 2000만원으로 편성됐던 예산은 지역주민과 국회의원 등의 반대 여론에 부딪혔습니다. 

이들은 발전용 배정분을 민수용으로 전환하고, 40만 톤 정도를 발전용으로 써 줘야 한다고 주장을 계속해 이 의견이 관철됐습니다. 올해 무연탄 발전 예산은 94억 7000만원, 석탄비축 사업비도 26억 5000만원이 배정되면서 관련 예산은 120여억원이 됐습니다.  

하지만 지자체와 지역민의 불안감은 여전합니다. 1년 후가 될지 2년 후가 될지 모르지만, 언젠가는 예산이 감액될지 모른다는 겁니다.

그래서 동해화력이라도 우리나라의 유일한 무연탄 전소발전소로 남아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수입 무연탄과 국내산 무연탄의 가격 차액 보전 사업도 존속시켜 달라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습니다. 무연탄 산업의 연착륙을 위해 정부도, 지역민들도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