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부문 외부사업, 성장 잠재력 높다”
“건물부문 외부사업, 성장 잠재력 높다”
  • 오철 기자
  • 승인 2018.11.23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대환 에너지공단 팀장, “미개발 95% 규제도 적어…다양한 방법론 개발 나서야”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건물부문 외부사업 추진현황 및 활성화 전략' 설명회
2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건물부문 외부사업 추진현황 및 활성화 전략' 설명회

[한국에너지신문] “건물부문의 외부사업은 95%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분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잠재성이 매우 높죠. 적극적인 개발이 필요합니다.”

지난 21일 국토부가 주최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이 주관한 ‘건물부문 외부사업 추진현황 및 활성화 전략’ 설명회에서 김대환 한국에너지공단 건물기후변화대응 팀장은 “82%가 규제 대상인 산업부문에 비해 건물부문의 규제 대상은 5% 미만”이라며, “추가성 만족 등 규제가 비교적 자유로운 건물부문이 국내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의 열쇠”라고 말했다.

​​​​​​​김대환 한국에너공단 건물에너지실 팀장
김대환 한국에너공단 건물에너지실 팀장

외부사업은 배출권 할당대상업체가 사업장 외부에서 온실가스 배출원을 근본적으로 제거·개선하는 활동이다. 업체는 할당량을 초과해 배출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외부사업 감축량으로 상쇄하거나 판매해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외부사업을 인정 받기 위해서는 조건이 따른다. 법적 경제적 등 추가성을 만족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법적 추가성의 경우 현행 법·제도에 의무사항으로 규정돼 있지 않은 활동이어야 조건에 만족된다. 이에 관련 법과 의무사항이 많아 외부사업 진행이 어려운 산업부문보다 건물부문이 여건이 좋고 개발 잠재력이 높다는 게 김 팀장의 설명이다.

외부사업 방법론에 대한 개발 필요성도 언급했다 김 팀장은 “현재 국내 건물부문 외부사업으로 등록된 방법론은 단 4개 뿐”이라며, “건물부문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론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국내 온실가스 외부사업으로 등록된 방법론은 39개지만 건물부문에서 승인된 방법론은 단 4개이다. 로드맵 수정 후 전체 감축량 비중이 높아지고 기술의 발전으로 건물부문 외부사업의 위상이 달라졌지만 방법론이 부족해 사업 승인에 어려움 겪고 있다. 이에 다양한 방법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침 정부도 건물부문 감축 잠재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LED조명 광속 규제 완화와 제로에너지 인증 연계 등의 건물부문 외부사업 유연화에 긍정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이해관계자를 연결해주는 플랫폼(CEMP)을 구축하고 있어 방법론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이충국 한국기후변화연구원 탄소배출권센터장은 국내 주요 CSR활동 기업이 배출권거래제 할당대상업체와 동일하다는 점을 착안, ‘CSR-외부사업 연계 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이충국 한국기후변화연구원 탄소배출권센터장
이충국 한국기후변화연구원 탄소배출권센터장

이 센터장은 “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취약계층 LED 지원사업, 고효율 기기 지원 사업 등 CSR활동은 건물부문 외부사업 방법론과 비슷하다”며, “투자목적보다 지원목적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건물부문 외부사업과 CSR활동이 연계된다면 가치를 더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업들은 이미지 제고와 이익 환원 목적으로 매년 많은 비용(255개 기업 연평균 114억)을 투자해가며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 중 겹치는 활동이 있으니 외부사업과 연계한다면 기업은 배출권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투자가 늘어 에너지복지 사업도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게 이 센터장의 의견이다.

이어 CSR과 외부사업 연계를 추진하기 위해 발생되는 복잡한 절차를 간소화 시켜주고 이해관계자를 연결해주는 온실가스 감축 상생플랫폼(CEMP, CSR & Emission Matching Platform)을 소개했다.

이 센터장은 “기업의 경우 CSR 예산이 있지만 사용처 정보가 부족했고, 지자체는 취약계층 정보가 있지만 예산이 부족해서 복지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며, “CEMP가 기업과 지자체를 이어주는 다리가 되어 온실가스 감축, 외부사업 활성화, 에너지 복지 지원 확대, 일자리 창출(컨설팅∙사후관리) 등 다양한 기대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