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재개 협의…LPG업계에 훈풍 부나
개성공단 재개 협의…LPG업계에 훈풍 부나
  • 조성구 기자
  • 승인 2018.10.29 10: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단 공급 확산이 1차 목표

[한국에너지신문]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이 추진되는 등 재개 분위기가 감돌면서 액화석유가스(LPG) 업계에도 청신호가 오는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지난 25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LPG사업자들은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연료공급 사업을 해 왔다.

E1은 개성공단에 3톤 미만의 소형 저장탱크와 배관을 설치해 38개 업체를 대상으로 월평균 300톤 규모의 LPG를 인천기지에서부터 벌크로리로 운반해 공급했다.

에스엔에너지는 30억원을 투자해 개성공단에 소형저장탱크와 배관망을 구축하고 2015년 기준 약 60여 개 업체에 총 4350톤의 SK가스 LPG를 공급했다. 한국석유공사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개성공단 LPG 공급량은 2004년 첫해 119배럴에서 시작해 2015년 4만 994배럴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6년 초에는 6145배럴을 기록한 뒤 개성공단 사업이 중단됐다.

현재는 개성공단에서 공급을 재개하는 것이 업계의 1차 목표이지만, 경제 제재가 해제되고 난 후 차차 북한 전역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다양한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산악지역이 많은 현지의 특성상 단기간에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1차 연료 에너지원으로는 LPG가 최선이라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한편 남북 경협에 따라 공급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LPG를 석유류가 아닌 ‘가스체’로 별도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 항목이 분리될 경우, 석유류와는 다른 차원에서 정책 지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는 현재까지 국내 에너지 복지 확산 차원에서 이 방안을 지지해 왔다. 

2011년 산자부와 에너지경제연구원은 ‘LPG-LNG 적정 역할 분담 방안’을 연구한 결과보고서에서 “LPG를 석유제품 가운데 하나로 분류하기보다는 독립된 에너지원으로 규정하고 국가에너지 통계작성에서도 항목을 분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했다. 일본도 2003년부터 석유와는 다른 별도 항목으로 LPG를 분리해 관리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