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한 자릿수 공급예비율, 진짜 위기일까
[분석] 한 자릿수 공급예비율, 진짜 위기일까
  • 오철 기자
  • 승인 2018.07.27 1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예비력 500만㎾ 이하면 비상…정부 “DR 등으로 충분히 대응”

[한국에너지신문] 연일 이어지는 폭염으로 지난 24일 역대 최대전력수요를 경신, 예비율 7%대를 찍은 가운데 전력수급에 대한 불안감이 또다시 확산되고 있다.

지난 25일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불안정한 전력 수급 때문에 급하게 원전 2기를 가동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이미 4월에 예정된 계획대로 시행한 것 뿐”이라며 “원안위 안정규정에 따라 일정이 정해지므로 산자부에서 임의로 바꿀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 자릿수 예비율을 전력수급 예측 실패로 간주하고 탈원전 정책과 연계해 공세를 멈추지 않았다.

Q1. 7%대 예비율 위기? ▶정부, “문제없다” 단계별 대응 준비 

24일 실시간 전력수급현황
24일 실시간 전력수급현황

산자부에 따르면 24일 오후 5시 최대 전력수요가 9248만㎾를 찍으며 그 전날 경신했던 역대 최대전력수요 기록(9070만㎾)을 또다시 경신했다. 당시 공급예비율은 7.7%를 기록했다. 오후 4시를 조금 넘어섰을 때는 7.2%대를 찍기도 했다. 정부가 월초 예측한 8830만㎾와 예비율 14%를 훌쩍 넘는 수치였다.

이에 업계 일부에서는 “7%대 공급예비율은 위태로운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발전소 불시 정지나 송전선로 이상 등 문제가 생기면 금방이라도 비상상황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7%대 공급예비율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당시 예비력은 709만㎾로 비상대응 단계인 500만㎾보다 209만㎾, 원전 2대 정도의 여유가 있었다.

만약 수요급증과 사고로 인해 예비력이 500만㎾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비상 단계로 들어가 단계별 대응을 하게 된다. 500만㎾ 이하일 때는 ‘준비’, 400만㎾ 이하 일 때는 ‘관심’ 단계로 수요감축요청(DR) 발령 및 전압하향조정 등을 시행한다.

DR은 기업이 피크 시간에 전기 사용을 줄이면 정부가 보상해 주는 제도이다. 전력거래소가 올해 1월 이상 한파로 DR을 요청했을 때 12일 11시경 한 시간 동안에만 282만㎾를 감축한 바 있다. 이같이 정부는 비상 시 감축 요청을 통해 전력 수급 안정화를 꾀할 방침이다.

300만㎾ 이하는 ‘주의, ‘200만㎾ 이하는 ‘경계’ 단계로 한전에서 긴급단전과 같은 더 강력한 안정화 대책을 시행하며, 100만㎾ 이하 ‘심각’ 단계에서는 산자부 장관이 중앙사고수습본부 본부장이 돼서 전력 수급 위기 대응 표준 매뉴얼에 따라 대응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 백 장관은 “총 예비력 1000만㎾ 정도가 확충되는 위기 대응체계가 마련되어 있으니 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된다”고 강조했다.

Q2.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정 불가피? ▶극한 상황 반영시 설비 과잉·전기료↑

수요전망 수정이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관해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예상치 못한 폭염으로 전력 피크 수요가 올라가 예비율이 예상보다 떨어진 건 사실”이라면서도, “이상기후까지 계산해서 수요예측을 하면 심각한 설비 과잉을 초래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평시에 7%대를 유지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재난 수준의 이례적인 폭염 상태를 평균으로 두고 수요전망을 하는 건 전기요금 인상으로 이어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수요전망은 기본적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 기상청 등 국내 권위기관의 전망자료와 국제적으로 검증된 예측모형을 활용해 전문가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확정된다.

장기 수급계획은 기상청 장기 기후 시나리오(100년간)를 바탕으로, 단기는 지난 5월 발표된 기상청 전망에 따라 수립된다.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상기온 등 극한 상황은 반영하지 않는다. 하지만 비상상황을 대비하는 9%의 추가 예비율을 준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백 장관은 “전력 수급 계획이 2년마다 수립되고 있으니 앞으로는 이러한 재난 형태의 폭염도 기상청이 다시 재정립해서 예상하게 되면 그에 맞춰 전력 수요를 다시 전망하도록 하겠다”고 보강된 수요 전망 예측을 약속했다.

Q3. 발전소 더 필요한가? ▶경제적으로 비합리적…DR 적극 활용

정부는 전력 수급 안정화를 위해 원전, 화력발전 등 이미 설비된 발전소를 충분히 활용하면서도 수요관리로 리스크를 완충할 계획이다.

전력은 여름과 겨울 한때, 기온이 가장 높을 때와 가장 낮을 시기에만 일시적으로 수요가 급증하는데, 전력 피크 단 몇 시간을 위해 발전소를 더 짓는 것은 경제적으로 비합리적이라는 것이다.

전력피크 시 수요감축요청(DR) 역할
전력피크 시 수요감축요청(DR) 역할

실제로 역대 최고 전력수요를 기록한 24일에도 오후 몇 시간을 제외하면 두 자릿수 예비율을 유지했고 폭염 시작 전 9일에는 피크시간에도 예비율 34%를 유지했다.

전력 피크 시 수요관리 방안으로는 DR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발전소 건설 비용(1GW 발전소 2조)이 없고, 발전기 가동 비용보다도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산자부에 따르면 지난겨울(2017.12~2018.1) 8번의 감축 요청 시 발전기를 가동했을 경우(45억원)와 비교해 약 4억원을 절감했다. 현재 4.2GW 규모의 자원을 확보한 것을 감안하면 DR을 통해 연간 1600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성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27일 통화에서 “DR은 전력피크 완화와 전기요금 인상 억제, 온실가스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진 대표적인 에너지 신사업”이라며, “향후 제도적으로 뒷받침된다면 신재생에너지의 문제점인 ‘변동성’ 해결에서도 유연성 자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