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협 1순위는 신재생에너지”
“남북 경협 1순위는 신재생에너지”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8.06.18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북한 ‘자연E 중장기 개발계획’ 발표
2044년까지 5GW 규모 설비 투자
공기업 관련 사업 추진 발빠른 움직임

[한국에너지신문] 북미 정상회담으로 남북 경제협력이 강화되면 최우선으로 협력이 이뤄지는 분야는 신재생에너지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북한 당국은 최근 ‘자연에네르기 중장기 개발계획’ 등을 발표하고 2044년까지 5GW의 재생에너지 설비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발전량의 15%는 풍력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북한은 잘 알려진 대로 전력 기반시설이 낙후돼 있는 상태다. 연료를 수입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를 명목상 주체사상에 알맞은 에너지원으로 여기고 있는데, 실제로는 경제 제재 국면에서 가장 적합한 에너지원이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는 수요지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면 경제성이 높아지고, 기반시설을 한꺼번에 건설하기 어렵고 소형 전력망을 구성할 때 유리한 측면이 있다. 원자력발전을 제공하면 핵무기를 제조할 위험을 피할 수 없고, 화력발전과 대규모 전력망 건설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북한의 현재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북한 당국의 ‘자연에네르기 계획’은 풍력과 태양광, 수소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발전 목표를 담고 있다. 우리 정부도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힘을 쏟고 있다. 남북의 에너지 정책 방향이 비슷하기 때문에 협력이 더 널리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대체적인 평가다. 

이와 관련해 에너지 관련 공공기관들도 대응을 위한 팀을 발족하고 정부와 협의체를 구성하는 등 다양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15일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분야와 다른 프로젝트를 연계한 신산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에너지공단은 남북 에너지 협력과 관련된 분야 전문가를 초빙하는 형태의 별도 협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공단은 이외에도 7000만원을 들여 올해 정책지원 사업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북한 지역 에너지자립도 향상을 위한 남북 신재생에너지 협력방안 수립 연구’ 등 13개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고 공고했다.

이들 연구 용역은 8개월간 진행된다. 동서발전은 북한에 풍력과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검토하고 있고, 광물자원공사는 남북자원개발 태스크포스를 꾸렸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북한지역의 신재생에너지 원별 및 지역별 보급 잠재량, 경제특구 등 에너지 다소비 지역 현황을 별도로 분석할 예정이다. 

조상민 에경연 박사는 “전력 시설이 좋지 않은 북한 특성상 다른 저개발국처럼 태양광 위주의 분산형 전력시스템을 최우선으로 구축해 광열 위주의 에너지 공급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라며 “다만 수력은 어느 정도 기존 구축된 시설에 송배전망을 개보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북한 내에 전력 관련 사업화가 이뤄질 수 있다거나 남한 수준의 에너지 소비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는 데에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김경술 에경연 박사는 “북한에는 요금을 내고 전력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많지 않다”며 “우리 전력산업이 가지고 있는 체제를 북한에 바로 도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민간기업이 투자비를 회수할 방안을 연구하고, 북한에 적합한 것인지, 전원 믹스를 어떻게 구성할지 장기계획을 잘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