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선언 1년, 1000조원 원전 해체 시장에 쏠린 눈
탈원전 선언 1년, 1000조원 원전 해체 시장에 쏠린 눈
  • 조강희 기자
  • 승인 2018.06.18 1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선진국 원전 가동 중단으로 ‘블루오션’ 부상
IAEA “세계 시장 2050년엔 1000조원 규모”
국내 기술 선진국 80% 수준…수요 대응 시급

고리1호기 2022년부터 해체 본격화…핵심 기술 확보가 관건

고리원전1호기 전경
고리1호기 전경

[한국에너지신문] 지난해 6월 18일 국내 최초의 원전인 고리1호기가 40년간의 가동을 마치고 영구 정지됐다. 이외에도 수명이 도래하는 원전은 차례차례 영구 정지와 해체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고리2·3·4호기는 2023~2025년, 지난 15일 조기폐쇄가 결정된 경주 월성1호기는 2022년, 영광 한빛 1호기는 2025년 설계수명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국내 해체 기술 연구와 상용화 속도도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고리1호기는 현재 사용후 핵연료 냉각 등 해체준비 작업이 한창이다. 하지만 하나의 원전을 해체하는 데에는 즉시해체의 경우 15년여의 시간이 소요된다. 고리 1호기는 즉시해체 방식을 채택하고, 이후 관련 기술과 경험을 확보해 향후에는 기술과 인력을 수출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지연해체 방식에는 60년 이상이 걸린다.

방사성 물질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를 활용해 원전 시설에 매립한 방사성 물질이 줄어들기를 기다려 해체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한편 즉시해체 방식의 경우 원전 해체가 이뤄지기 위한 필수 과정인 핵연료 냉각에는 5년의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고리1호기 해체 본격화는 2022년 6월 이후에야 가능하다.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 1호기 해체에 필요한 상용화 기술 58가지 항목을 도출해 40여 가지 기술을 확보했으며, 나머지 기술 확보에 매진하고 있다.

한수원은 내년 6월까지 해체 계획을 세우고 2022년 6월까지 고리1호기 해체계획서의 정부 승인을 받는다. 시설과 구조물의 제염과 해체에는 8년, 부지 복원에도 2년의 시간이 소요된다. 고리 1호기 해체 완료 목표 기한은 2032년 이후다. 산자부가 추산한 고리1호기 해체비용은 6437억원이다.

한편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이후 주요 선진국들이 원전 가동을 중단하면서 원전 해체 시장은 세계 시장에서도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따르면 현재 세계 34개국에 건설된 원전 612기 가운데 가동 중인 것은 447기, 영구정지된 것은 165기다.

영구정지 165기 가운데 19기가 해체 완료됐고, 나머지는 해체가 진행 중이거나 준비 중이다. 가동 중인 447기 중 가동한 지 30~39년 된 원전은 181기이며, 40년 이상 된 원전도 101기에 달한다.

한수원과 딜로이트컨설팅이 2015년 발간한 ‘세계 원전해체 전망’ 자료에 따르면 1960~80년대에 건설한 원전이 수명을 마치는 2020년대에 183기, 2030년대에는 127기, 2040년대 이후에는 89기 등으로 모두 399기의 원전이 해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IAEA는 발전소와 각종 연관시설 등을 포함한 원전 해체 시장 규모를 2030년 4500억 달러(500조원), 2050년에는 9000억 달러(1000조원) 규모로 예측하고 있다. 원전을 완전 해체한 경험이 있는 나라는 미국(15기), 독일(3기), 일본(1기)뿐이다. 현재까지 1기당 해체 비용은 미국 7800억원, 일본 9500억원, 독일 8600억원 정도다.

해체 기술을 100% 보유하면 시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어 정부는 핵심 기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한국의 원전 해체 기술은 선진국의 80% 수준이다. 한편 국내외 원전 해체 수요 대응을 위해 정부는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원전해체기술 수출 계획 등을 지난해 6월 밝혔다. 부산 기장, 울산 울주, 경북 경주·울진 등 원전이 위치한 각 지자체는 해체연구소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